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acs.chemmater.8b02049연구팀은 앞으로 퀀텀닷의 반치폭을 32nm 이하로 줄이는 등 고순도 퀀텀닷 개발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교수는 “현재 실험실에서는 인화인듐 퀀텀닷의 효율을 카드뮴 퀀텀닷과 유사한 정도까지 끌어올렸다”며 “퀀텀닷을 이용하면 순도 높은 색을 표현하면서도 유기발광다이오드 ... ...
- [특집] 비밀의 방 - 보이니치 필사본을 해독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2018년에는 ‘포커계의 알파고’라고 알려진 ‘AI 딥스택’을 개발한 그레그 콘드랙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AI 연구소 교수가 보이니치 필사본 해독에 나섰다. 전세계 390개 언어를 97%의 정확도로 구별하고, 번역할 수 있는 인공지능으로 보이니치 필사본을 분석했다 ... ...
- 문화재가 간직한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알기 어려웠어요.그래서 연구팀은 3차원 데이터에서 새겨진 부분을 찾아내는 기법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먼저 3D 스캐너로 비석을 스캐닝하고 글자의 흔적이 있는 곳을 찾아 홈의 깊이와 폭을 측정했지요. 이후 이 홈들의 폭 대비 평균 깊이가 깊은 부분만을 남겨 글씨를 판독해 낸 거예요.연구팀이 ... ...
- 내 이름은 오가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오가노이드계의 맏이, 장 오가노이드야. 줄기세포로 태어나서 장을 닮은 모습으로 자라는 중인데, 앞으로 내가 얼마나 더 멋지게 ... 생명공학과 교수), 박원정(러쉬코리아 캠페인팀 이사), Christopher Caligiuri(브레인봇 개발자, 미국 캐니언 크레스트 아카데미 11학년 ... ...
- 문화재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국제적인 문자코드로, 약 13만 8000여 자를 표현할 수 있어요. 프레메리 교수팀은 직접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자주 사용되는 유니코드 6만 5000여 자를 구 모양의 3차원 공간에 펼쳤어요. 그리고 시조의 글자와 띄어쓰기를 모두 유니코드로 바꾼 뒤, 구 모양의 3차원 공간에 점을 찍었어요. 이 점들을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반응한다고 할 수 있나요?요즘 코로나19가 유행이니, 폐렴을 예로 들어 볼게요. 당시 개발했던 허파 장기 칩에서 폐포 세포에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넣어 자극했어요. 염증이 생기도록 말이에요. 이때 혈관 세포 쪽에 있던 면역 세포가 염증이 생긴 곳으로 몰려들었지요. 배양접시에서 세포를 키울 ... ...
- [수학뉴스] 조작된 인스타그램 좋아요 수 기계학습으로 밝힌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기계학습을 이용해 인스타그램에서 ‘좋아요’ 수가 조작된 게시물을 찾는 알고리듬을 개발했습니다.‘팟즈’는 팔로워 수가 많은 계정을 가진 사람끼리 서로의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을 달아 게시물을 조작하는 모임입니다. 좋아요 수와 댓글 수가 많아질수록 ‘인플루언서’가 될 ... ...
- [인터뷰] 호기심의 최전선을 꿈꾼다, 최재경 제8대 고등과학원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굴리엘모 마르코니를 예로 들었죠.이에 플렉스너는 마르코니가 무선 전신기를 개발할 수 있었던 건 30여 년 전에 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맥스웰이 8개의 방정식을 이용해 전자파 이론을 정립했기 때문이므로 맥스웰의 공헌이 더 크다고 말하며,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관련 없어 보이는 기초 과학 ... ...
- [진로체험] 온라인에 남긴 흔적 찾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어떻게 해야 하나요?데이터 사이언티스트를 꿈꾼다면 수학과 통계를, 데이터 프로그램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 코딩을 잘해야 해요. 하지만 데이터 분야에는 이 외에도 다양한 직업이 있어요. 만약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싶다면 코딩이나 수학보다는 마케팅 경험이 중요해요. ... ...
- [주니어 폴리매스] 비주얼드, 애니팡에 맞서는 ‘매치3 게임’을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2개의 위치를 바꿔 타일을 없애는 게임을 ‘매치3 게임’이라고 해요. 1994년 러시아의 개발자 예브게니 알렘진이 MS-DOS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도록 만든 게임 ‘샤리키’가 매치3 게임의 원조라고 알려져 있어요. 러시아어인 샤리키는 ‘볼’이라는 뜻이에요. 가로세로 각각이 8칸인 격자에 64개의 색깔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