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4. 21세기 국제우주정거장 알파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12회의 우주로켓을 발사해 지구에서 제작한 우주정거장 부품을 4백35km 상공의 지구
궤도
로 운반한다. 우주로 옮겨진 우주정거장의 부품들이 조립되면 우주정거장의 크기는 가로 1백8.4m, 세로 74.1m, 전체무게는 4백20t에 이른다. 이것은 인류가 지금까지 우주에 만든 최대의 구조물로 수명은 30년 정도가 ... ...
인류최대 행성탐사선 카시니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많은 위성이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와 같은 의문을 풀기 위해 카시니는 4년 동안 토성
궤도
를 돌면서 토성과 그 위성들을 조사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카시니와 함께 발사된 호이겐스는 유럽우주기구(ESA)가 개발한 타이탄 탐사선이다. 카시니가 토성에 도착하면 호이겐스는 ... ...
무중력 어디가 위 어디가 아래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붓는다. 지구에서는 중력의 영향으로 인체에 들어 있는 액체가 발 쪽에 많이 모여 있다가
궤도
에서는 유체들의 평형 상태가 달라지므로 위로 올라가게 된다.②우주인의 키가 2.5cm정도 커진다. 관절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관절의 간격이 벌어진다. 물론 지구로 다시 돌아오면 키는 ... ...
한국천문학의 초석을 마련한 보람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보도가 나오자마자, 천문학은 일약 인기과목으로 각광을 받았다. 덕분에 천체의
궤도
운동과 관련된 공부를 했던 필자도 많은 곳에서 취업 권유를 받았다.미국 내 연구소와 대학에서 연구하다가 한국에 돌아온 것은 1968년이었다. 당시 한국의 천문학이란 불모지였다. 한국에 천문학을 심겠다는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네게브사막에 군사위성발사대 설치. 1990년에 저
궤도
위성 호라이즌2호와 오페크2호가
궤도
에 진입.■알안바르우주기지(이라크)1989년 3단로켓 발사. 이라크의 로켓기술은 미국을 긴장시킴.■알칸타라발사기지(브라질)■나탄발사기지(브라질)1960년대 로켓 발사.■케이프타운발사기지(남아프리카 ... ...
3. V2에서 벤처 스타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사뭇 다른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선진국의 우주개발 방향을 볼 때 우리나라는 저
궤도
용 이동통신위성에 필요한 저비용 소모성 위성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21세기 초까지 매년 1백여기 이상 발사되는 인공위성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 ...
서베이어호 화성 도착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패스파인더에 이어 지난해 11월7일 발사된 마르스 글로벌 서베이어호가 9월11일 화성의 타원
궤도
에 진입했다. 지구에서 약 6억9천만km를 날아가 화성에 접근한 ... 계기가 되고 있다. 마르스옵서버호는
궤도
진입시 역추진장치에 압력을 높이는 순간
궤도
를 이탈해 우주공간으로 사라졌다 ... ...
2. 에피소드로 본 우주시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위원으로 선정됨으로써 우주비행사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정치인이 됐다. 미국인 최초로
궤도
비행에 성공한 존 글렌은 1974년 오하이오주에서, 아폴로 17호를 탔던 해리슨 슈미트는 1976년 뉴멕시코주에서 상원의원이 됐다.1970년 아폴로 13호로부터 성공적으로 귀환한 승무원 중에는 잭 스위가트 ... ...
화성 생명체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한다.그렇다고 인간이 화성을 갔다 오는데 5백20일만 걸리는 것은 아니다. 돌아올 때 호먼
궤도
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성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 기간이 무려 4백45일이나 된다. 따라서 인간이 화성에 갔다 오기 위해서는 약 3년의 기간이 필요한 것이다. 인간의 우주여행이 가능하려면 ... ...
백조의 머나먼 여행은 시작되고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1838년 독일 천문학자 베셀 (F.W. Bessel)은 삼각 측량으로 이 별의 연주시차(지구가 공전
궤도
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생기는 시차)를 측정해 최초로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해냈다. 이 별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 중 4번째로 가까운 별이므로 쉽게 연주시차를 측정할 수 있었다. 북아메리카성운(NGC7000)과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