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같다. 이제 아래의 두 그림을 살펴보자. Part 3 자연수그림을 잘 그리면 수식을 이용해 꼭 증명하지 않아도 정말 공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네요! 그런데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산술·기하평균의 정리 말고 좀 더 쉽고 재밌는 그림은 없어요?음~, 쉽고, 재밌는 그림이라…. 이리 따라와 봐~. 이번에는 진짜 ... ...
- 지방세포 살빼기로 비만 탈출! 어린이 다이어트 백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요. 키가 안 클 수도 있고 관절을 다칠 수도 있지요. 어린이도 꼭 살을 빼야 할까요? 그렇다면 어떻게 건강하게 살을 뺄 수 있을까요? 어린이 비만과 다이어트에 대해 관심이 많은 두 독자 어린이와 낱낱이 알아봤어요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위성과 충돌할 확률을 계산하고 있어요. 인공위성을 안전하게 운영하는 데도 수학이 꼭 필요하답니다!독자기자의 취재 수첩내 꿈을 키워 준 카이스트 탐방!김지원(유봉여고 1학년)나에게 이번 독자탐방은 마음을 새롭게 다지는 좋은 기회였다.첫째로, 나는 곽시종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며 역시 ... ...
- 신기한 바람개비 진동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문에 일어나는 거라고.진동이 멀미를 일으킨다니! 그럼 진동은 나쁜 거네요.진동이 꼭 나쁜 것만은 아냐. 진동은 다른 물체를 움직이는 에너지로도 쓸 수 있단다. 파도를 생각해 보렴. 파도는 바닷물이 위아래로 진동하면서 생기는 거잖니. 우리는 이 파도가 주는 힘으로 전기를 만들 수 있지,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교류하고 협력하는 자세를 가지라는 뜻이다. 그러려면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의 영어가 꼭 필요하다.개인적으로는 1980년대만 해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강대국이 될 것 같았던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의 덫’에 갇힌 이유가 국제 감각의 부재라고 생각한다. 자원도, 인구도 부족한 조그마한 도시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분류학 같이 고전적인 분야를 하면 힘들다’고요.” 하지만 미국에 가서 보니 꼭 그렇지는 않았다. 오히려 남들이 안 하는 걸 하니 희소가치가 있었다. “남들이 좋다고 말하는 건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도 알아야 해요.”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갔기 때문에 새 길도 열렸다. 천 교수가 최근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때는 힘들었지만 요즘은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저는 밑바닥부터 꼭대기까지 몸으로 배웠기 때문에 다 해보고 경험해 봤다는 것은 누구보다도 강점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죽을 때까지 일할 것이다 김 교수의 목표는 죽을 때까지 일하는 것이다. 자신이 일을 즐기기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집중하기를 바랐다. 그래서 영화를 보러 갈 여유를 잘 내지 못했다. 그는 “고등학교 때 꼭 보고 싶은 영화가 있었는데, 부모님이 못 가게 해서 결국 보지 못했던 일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성적뿐 아니라 생활에서도 모범생이었다. 주변에 친구가 많고 모임의 주동이 되는 성격이었지만,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창조해야 합니다. 한번 설계해 대량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하지요.”바다가 있는 한 꼭 필요한 분야“세계의 70%는 바다입니다.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공대 내에는 여러 인기 학과가 있지만 조선해양공학은 애국가처럼 ‘동해물이 마르는 일’이 없다면 영원히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라는 과학 4과목을 배우면서 ‘화학자가 되겠다, 서울대 화학과에 꼭 가겠다’는 결심을 했다. 외우는 것을 잘 못했던 그는 생물과 지구과학은 암기과목과 다름 아니어서 일찌감치 전공 대상에서 제외했고, 물리는 재미있기는 하나 마음이 가지 않았던 것. 그렇지만 용액과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