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깃털 옷 입고 안장된 석기시대 어린이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깃털들이 새가죽으로 만든 옷이나 침구류였을 것으로 추측했다. 동물의 털과 깃털이 수천
년
동안 썩지 않은 이유는 산성토양이 세균의 유기물 분해를 억제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포유류 털 파편 24개는 개 또는 늑대가 아이와 함께 묻혔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단 포유류의 이빨이 함께 발견되지 ... ...
[과학뉴스] 역대 최대 규모 화산 중간권 뚫은 기둥 높이는 57km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1저자인 사이먼 프라우드 옥스퍼드대 국립지구관측센터 연구원은 “이 측정법은 10
년
전만 해도 활용할 수 없었던 방법”이라며 “위성 기술이 크게 높아진 덕분”이라고 말했다 ... ...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약 6억 6500만 광
년
떨어진 은하, 2MASS J10065085+0141342의 블랙홀에서 조석교란현상이 발생했다. 조석교란이란 별이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에 가까이 갔을 때 중력이 미치는 정도가 달라 별이 부서지는 현상이다. 이 조석교란현상에는 AT 2018hyz라는 이름이 붙었다. 푸른별 지구에서는 2018
년
11월 . ...
네, 그래서 이과가 금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원자를 우리는 ‘금’이라고 부릅니다. 과거 허무맹랑하게만 여겨졌던 연금술이 수천
년
이 지나서야 비로소 현실 에 발을 디딘 거죠. 누가 알겠어요, 순간이동, 기억 이식 등 우리가 과학에 던지는 가장 황당한 소원이 언젠가 현실이 될지도 몰라요 ... ...
[힉스 10
년
] 우리는 무엇을 아는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관측하고 10
년
, 우리는 힉스를 얼마나 알게 됐을까. 힉스의 정체를 파악하려는 지난 10
년
의 노력과, 앞으로 10
년
힉스가 풀어주길 바라는 물리학 난제들을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힉스 10
년
] 우리는 무엇을 아는가[인포그래픽] 만물에 질량을 부여하는 HIGGSPART 1 100 ...
[힉스 10
년
] 만물에 질량을 부여하는 HIGGS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잠시 체중계에 올라서 보자. 눈앞에 보이는 충격적인 숫자는 힉스의 결과물이다. 정확히는 그중 1%가 힉스에 기인한다. 힉스는 어떻게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에 질량을 부여할까. 힉스 메커니즘을 이해해보자. ...
[힉스 10
년
]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시작해 2004
년
부터 본격적으로 RPC를 만들기 시작했다. 한국에서 제작된 RPC는 지난 2012
년
부터 지금까지 힉스가 붕괴되면서 발생하는 여러 채널 중 특히 뮤온 입자들을 생성하는 사건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며 힉스의 존재를 증명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혹시 CMS 사진 보신 적 있으세요? 저희가 만든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굉장히 가깝던 소형 육식공룡들에서도 나타나던 특징이라는 주장을 제기합니다. 1990
년
대에 중국 랴오닝 성에서 깃털이 달린 공룡들이 대거 발견돼 조류가 공룡에 속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진 후, 조류의 고유한 특징으로 여겨지던 생물학적 특징들이 사실은 공룡에서도 많이 나타난다는 사실이 ... ...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과학잡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늦은 오후, 경남 창원시 창원남산고의 강의실에 과학중점반 학생 50여명이 모였다. 한 학
년
에 200명가량 되는 창원남산고의 다른 친구들에게 보여줄 과학잡지를 만들려는 학생들이다. 이날은 변지민 과학동아 편집장이 ‘과학잡지 만들기’를 주제로 강의를 한 날. 학생들은 각자 잡지에 실을만한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그러나 DNA 루프 형성을 수행하는 단백질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었다. 김 교수는 2019
년
최초로 코헤신이 DNA 루프를 형성하는 모습을 실시간 형광 이미징을 통해 증명했다. 김 교수는 “모터 단백질이 유전자를 켜고 끄는 스위치 기능에 관여하 는 예시”라며 “유전자 스위치가 환경과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