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책임연구원도 “아직은 확신하기 이르다”며 “성 장하는(탄생하는) 중인지, 혹은 반대로 위성이 부서진 파편인지부터 확인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나치 게 행성에 접근한 위성은 조석력을 받아 부서져 고리의 재료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위성은 항상 행성의 그늘에 가려서, 혹은 너무 ...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세포체의 수상돌기가 시작되는 부위와 연결돼 있지만 다른 쪽은 아마크린 세포체에 먼 반대쪽에 연결돼 있었다. 이때 전자는 시간 지연을 두고 신호를 전달하는 반면, 후자는 즉시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차를 두고 전달되는 신호를 시신경이 받아들이면서 망막이 움직이는 물체를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짧아지다가 어느 한계점을 넘어가면 세포가 죽는다. 보통 세포에서는 이것이 정상이다. 반대로 텔로머라아제가 지나치게 활성화 된 경우가 바로 암세포다. 염색체 끝의 텔로미어가 줄지 않기 때문에 세포도 죽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분열하는 것이다.그레이더 교수, 블랙번 교수, 조스택 교수는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불투명한 컵에 담는 것이 시각 효과를 이용하는 사례다. 투명한 컵은 투명한 얼음처럼 반대편이 비춰 더 시원하게 느끼도록 한다.지난해에는 컵의 색이 음료의 맛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나왔다. 스페인 발렌시아기술대와 영국 옥스퍼드대의 공동연구인데, 핫초콜릿 음료는 흰 색이나 빨간 색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경험하는 것은 당연하게 여겨졌고, 그들은 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었어요. 반대로 트라우마를 겪지 않는 군인들은 어딘가 비정상적일 수 있다고 생각됐지요.또 PTSD는 정신질환의 대상을 개인에서 간접적으로 영향 받은 집단으로 넓혔어요. 베트남전 이후 미국의 일반 국민들도 PTSD 증상을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위로 핑크빛의 이른바 ‘비너스 벨트’가 선명하다. 날씨가 아주 맑은 곳에서 해가 지는 반대 방향에서 볼 수 있다. 이곳은 35억 년 전의 산화철 퇴적층 사이로 침식이 진행돼 거대한 붉은 협곡이 됐다.광야의 건축가, 흰개미서호주의 ‘필바라’는 붉은 땅이 끝없이 펼쳐진 건조한 지역이다. 약 35억 ... ...
-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돈을 따면 자신감과 함께 더 많은 돈을 따고 싶다는 마음에, 반대로 돈을 잃으면 잃은 돈을 만회하려는 마음에 점점 큰 돈을 걸게 되는 것이다. 스포츠 내기를 하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돈을 빌리고, 심지어 도둑질을 하다가 붙잡힌 청소년들도 있다.더 큰 문제는 ... ...
- 김주황의 악당예찬5 - 중력을 키우기 위해 지구를 꾹꾹 다지다 조드장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11호는 위성을 끈으로 묶은 뒤 원운동을 시켜 원심력을 만들었다. 원심 력은 회전 중심과 반대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위성 안 에 있으면 바깥방향으로 중력과 비슷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우주정거장이라면 일단 도넛 모양으로 만든 뒤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반대로 휘게 만들어 보기로 했다. 보통은 코어를 수직으로 세우는데 이번 경우는 건물과 반대 방향인 동쪽으로 기운 코어를 쌓아 올린 것이다.동쪽으로 기운 코어를 먼저 완성한 후 건물을 일주일에 4m씩 지었는데, 건물이 높아질수록 코어가 서쪽으로 펴졌다. 코어가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힘과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면에 이산화탄소를 흘려 보내면 통로가 팽창한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지 않은 반대 방향으로 꼬리가 구부러진다. 복잡한 알고리즘은 전혀 필요 없다.미국 하버드대 조지 화이트사이드 교수팀도 매우 단순한 연소 시스템을 이용해 눈 깜짝할 새에 공중으로 튀어 오르는 ‘점핑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