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GMO 안전성에 빨간 불?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수 있는 큰 종양도 4배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이런 일이 일어나는 원인으로 삽입된 유전자가 하는 새로운 대사 작용과 라운드업 제초제에 의한 내분비 장애를 꼽았다. 이를 바탕으로 GMO가 장기적으로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연구는 즉각 논란을 ...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담긴 전체 염기서열을 읽기는 했지만 각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내지 못했다”며 “이제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려는 연구가 시작된 것”이라고 IMPC를 소개했다.지난 7월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으로 가천의대, 서울대, 연세대 등 국내 쥐 과학자의 연합인 한국 마우스 병원도 IMPC에 가입했다. 이영식 ...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나갈 수 있도록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돕는 과정은 시아마가 지적한 것처럼 ‘유전적으로 다른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또 다른 복원의 과정이 아닐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여우야 여우야 같이 살자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Part 2. 우리 이렇게 살고 있어요Bridge. 달갑지 않은 ...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연구하기로 결심하고 레프코위츠 연구실을 찾았다.코빌카 박사는 구체적으로 어떤 유전자가 에피네프린이 결합하는 수용체(‘베타-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만드는지 밝히는 연구에 착수했다. 그 결과 이런 역할을 하는 구아닌 수용체가 7개의 긴 나선 구조를 갖는 소수성(물을 싫어하는) ... ...
- 어릴 적 가난이 유전자에 흔적 남긴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 성별과 노화를 비롯해 어렸을 적 가난 같은 환경 차이가 유전자 각인 과정을 통해 DNA에 영구적인 변화를 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연구팀은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 세포의 DNA에 변화가 일어난 만큼 어렸을 적의 경제 상황이 성인이 된 후 면역 반응에도 영향을 ...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하고 있다. 곰은 큰 나무에 몸과 발톱을 비비면서 영역을 표시하는데 이 때 남긴 털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해 개체수를 파악한다. 곰이 비빈 흔적이 남아 있는 나무 둘레에 철사를 설치해 좀 더 쉽게 털을 채취하며 개체수를 관리하고 있다.소통과 참여, 공생하기 위한 궁극의 화두원래대로 회복한다는 ... ...
-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그래서 이런 전사인자가 일반 체세포 내에서도 발현하게 만들면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유전정보가 전사돼 체세포가 배아줄기세포 같은 세포에서 변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신야 교수는 배아줄기세포가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전사인자(Oct4, Sox2, Klf4, c-Myc)를 분화된 체세포에 삽입해 배아줄기세포와 ...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실제로 인간들은 전세계에 있는 여우와 표본으로 남아있는 한국에 살았던 여우의 유전자를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중국과 러시아 동북부, 몽골에 있는 여우와 한국 여우가 같은 종인 것이 드러났습니다. 친인척인 셈입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토종이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우리의 활동 무대는 ...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윤리 영역과 겹치거나 상충되는 경우가 생기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로, 생물학이 유전자 기술에 기반을 둔 바이오 테크놀러지(BT, biology technology)로 영역이 확장되면서 생물 복제, 특히 인간 복제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밖에도 환경오염에 대한 판단이나 지구 온난화 문제와 ... ...
- 수학으로 쓴 아름다운 글씨수학동아 l2012년 10호
- 글씨 유전자를 공통으로 갖기 때문에 그 모양이 비슷하다.글씨체에 처음으로 이런 형태유전자를 도입해, 수학적 질서를 체계화한 사람은 스위스의 글씨체 디자이너 아드리안 프루티거다. 아드리안 푸르티거는 1957년 ‘유니버스(Univers)’란 이름에 새로운 글씨체 가족을 세상에 소개했다. 서체의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