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
영혼
혼
넋
얼
두뇌
혼령
d라이브러리
"
정신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감정상태 파악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새로 개발될 로봇은 스스로 감정을 갖지 못하지만, 주인의
정신
상태를 파악해 반응할 수 있는 도우미가 된다.연구팀은 인간이 각기 다른 상황에서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 대상에 웨어러블 센서를 부착한 후 비디오게임을 하는 동안 모니터로 관찰했다.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있다대뇌의 전두엽(前頭葉)이 위축됨으로써 생기는 치매(癡呆─지능·의지·기억 등
정신
적인 능력이 현저하게 감퇴하는 것)의 일종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노년기에 나타난다 이 치매를 발견한 폴란드 의사 알츠하이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으로 치료가 매우 어렵다고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C 다윈과 J H 잭슨의 영향을 받았다1892년 미국으로 건너가 신경병리학을 담당하는 동시에
정신
과 임상에 종사했다코넬 대학 교수를 거쳐 1910년 존스 홉킨스 대학 교수, 13년에는 같은 대학의 헨리 핍스병원 초대 원장이 되었다가 41년에 은퇴했다1860~1944 독일의 지구물리학자 1884년부터 고다의 ... ...
다시 외쳐지는 집합 구호, 슈퍼컴퓨팅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 슈퍼컴퓨팅은 방식과 수준이 가지가지인 만큼 ‘나도 할 수 있다’는 헝그리
정신
만 있으면 누구나 가능하다. 1994년 시작된 베어울프(Beowulf) 운동이 대표적이다. 베어울프는 PC를 LAN으로 연결해 만든 PC 클러스터에서 병렬화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슈퍼컴퓨터를 구현한 것으로, LAN의 등장과 PC ... ...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가능하게 하는 퇴비와 유기농법을 개발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대화하는
정신
적인 농사꾼이 되는데 있다. 그래서 핀드혼 공동체의 모습은 과학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핀드혼 공동체야말로 과학과 기술이 어떻게 생활에 흡수돼야 하는가를 말해주는 가장 적절한 예일지도 모른다.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것이다. 넘어야 할 마지막 관문파킨슨병이 무서운 이유는 육체적 불편함도 있지만 ‘
정신
적 사망’이 더욱 충격을 주기 때문이다. 멀쩡하던 사람이 서서히 자신의 수족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으며, 보행을 자유롭게 할 수 없다면 생물학적으로는 물론 사회적으로 ‘죽음’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 ...
땅속에 향나무 묻은 뜻 침향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침향은 향기나는 나무를 가리키는 말로 이를 불에 태우면 좋은 냄새가 난다. 주산지는 동남아시아이나 신라시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애용됐다. ... 부질없는 일인지 모른다. 하지만 먼 뒷날의 후손을 위해 정성을 쏟아 부은 매향
정신
만은 다른 의미로 승화시켜 새 밀레니엄의 우리 것으로 하고 ... ...
살아 꿈틀거리는 우주의 집게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무서운 독을 내뿜었다. 헤라클레스가 히드라와 힘겨운 사투를 벌이는 동안 헤라는 그의
정신
을 산만하게 하려고 게 한마리를 보냈다. 게는 헤라클레스의 발을 무는데 성공했지만, 헤라클레스의 발에 밟혀 다리 하나가 부러진채 죽고 말았다.게자리를 잘 살펴보면 한쪽 집게발이 보이지 않는데, 그 ... ...
왜 수학이 의료장비 개발에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역문제에는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수많은 난해한 질문들이 있다. 지적인 도전
정신
이 강한 많은 젊은이들이 도전해볼 만한 훌륭한 분야임에 틀림없다. 그들의 수학적 아이디어가 라돈의 경우처럼 인류 문명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
2. 3회 연속 수상한 일본의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없다. 히로시마대 총장의 네평짜리 연구소노벨상을 탄 경우는 아니지만 일본 연구자의
정신
자세를 보여주는 또다른 예를 살펴보자. 히로시마대의 전 총장인 하라다 야스오(69)는 여태 의문에 쌓여 있던 비둘기의 귀소본능에 대한 열쇠를 푸는 발견을 2000년에 해냈다. 그는 연구 결과 내이(內耳)의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