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만든 로봇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움직였고, 기발한 구조에 입이 다물어
지지
않았다. 오히려 기자와 동료들은 막상 레고를 손에 들고 로봇을 만들려 했을 때 막막할 뿐이었다.FLL대회는 미국 퍼스트재단의 자문을 얻어 그해 가장 뜨거운 과학과 공학의 이슈를 주제로 정한다. 해당 주제의 ... ...
폐품으로 만든 태양광 로봇 쏠라 로버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과학키트 전문 제조사인 4M의 제품답게 깔끔한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로봇 팔처럼 생긴
지지
대가 달려 있어 태양광 패널을 맘대로 움직일 수 있다. 그 덕분에 태양이 어느 방향에 있든 상관없이 달린다. 또 태양광 패널 양 옆에 병풍처럼 달린 반사거울은 발전의 효율을 높인다. 폐품을 활용해 차를 ... ...
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것 같고 황당해 보이지만 엄연히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가 낸 아이디어다.기후공학을
지지
하는 학자들은 우리가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지구공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과연 지구공학은 우리가 쓸 수 밖에 없는 대안일까. '병보다 위험한 치료법’이 되지 않기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강도 높게 비판했다.정치적인 악용 우려…과학적인 대처 필요반면 지구공학을
지지
하는 학자들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야기한 지구온난화는 이미 막을 수 없는 지경이기 때문에 전쟁을 치르듯 지구를 구하는 데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국 맨체스터대 기계공학과의 브라이언 라운더 교수는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데 도움이 된다. 이제껏 이런 방법은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어 지구공학으로 여겨
지지
않았지만, 즉시 실행할 수 있고 좋은 부산물이 많아 지구공학에서도 유익한 방법으로 손꼽힌다.한편 햇빛을 대기로 더 많이 반사시키는 다양한 농작물을 기른다면, 지구의 평균기온을 낮출 수 있는 물리학적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전자중성미자와 타우중성미자 사이의 변환상수가 발견됐다. 각각 100%와 30%다. 아직 밝혀
지지
않은 전자중성미자와 뮤온중성미자 사이의 변환상수는 입자물리학계의 최대 관심사다. 프랑스의 중성미자검출기인 ‘슈(Chooz)’를 이용해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15% 이하라는 사실만 확인했다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깨끗이 씻을 수 있게 만들었다. 당시는 세균이 질병의 원인이라는 생각이 널리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나이팅게일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질병은 더럽고 바람이 통하지 않는 병실이나 방에서 자연스럽게 생긴다고 믿었다. 그래서 나이팅게일은 좋은 간호를 하기 위해선 우선 환경을 청결하게 ... ...
숫자행렬 단추 퍼즐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렇게 만든 숫자판 중에는 단추를 눌러서 서로 만들어지는 것들도 있고 서로 만들어
지지
않는 것들도 있을 것이다.(1) 이렇게 아무렇게나 만든 숫자판들을 모두 모은 집합을 T라 하자. T 숫자판 중에서 서로 만들어지는 것끼리 묶으면 T는 각각 서로소인 부분집합들로 분할됨을 보여라.(2) 이렇게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세월이 흐르면서 모래 바람을 따라 혜초의 발자국은 지워졌지만 그가 걸어온 길은 지워
지지
않았다. 또 그가 걸었던 5만 리의 여정과 그의 정신은 왕오천축국전으로 지금껏 살아 있다. 젊은이들에게 세상을 품을 수 있는 힘찬 기운을 전하는 선현의 선물로 말이다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술’ 덕분이다. 이 기술로 만든 떡은 시간이 오래 지나거나 냉장고에 보관해도 단단해
지지
않고 말랑말랑하다. 냉동실에 꽁꽁 얼렸다가 녹여도 마치 방금 뽑아낸 것처럼 쫄깃쫄깃하다. 떡을 보관했다가 다시 먹을 때 찌거나 데울 필요가 전혀 없다는 뜻이다.떡 굳는 이유는 전분이 ‘늙기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