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집단생활을 하는 미어캣은 천적이 오는지 경계하고자 뒷다리로 발딱 일어서서 보
초
를 선다. 마치 ‘무한도전’ 공개수배 편에서 분식을 먹으면서도 형사가 오지 않나 경계를 늦추지 않는 유재석처럼 말이다. 미어캣의 이러한 경계 태세는 무리 안에 새끼가 있을 때 더 자주 나타난다는 사실이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진행해 나갔어요. 우선 지사탐에서 꿀벌탐사 현장교육을 들으며 꿀벌에 대한 기
초
지식을 쌓았죠. 또 약 3년 동안 민욱이형 가족과 함께 탐사한 자료를 합쳐 분석하기도 하고요.이렇게 대회 준비를 할 수 있었던 건 다 지사탐 덕분이라고 생각해요. 지사탐이 아니었다면 이런 대회가 있어도 그냥 ... ...
[공지]전국 주요 과학관 무료 입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있으며 25g부터 1200kg까지 무게와 크기가 다양하다.드론은 2000년대
초
반에 생겨났다. 처음엔 군사용 무인항공기로 개발했다. 드론이 내는 소리가 벌이 윙윙거리는 소리와 비슷해서 영어로 수벌을 뜻하는 드론이라고 붙였다고 한다. 처음 드론은 공군의 미사일 폭격 연습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 건설을 시작했다. 2021년 완공이 목표다. 권 팀장은 “모리타 박사가 속한 RIKEN과 건설
초
기부터 지속적으로 협력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기 위한 경쟁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알 수 없다. 명목상으로는 학자들의 제안이었다고 한다. 우리 은하계에서 최
초
로 외계인과 만날 때는 본 모습이어야 한다는 게 그들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본 모습이란 무언가. 진화를 거친 직립 보행 동물이 우리의 본 모습일까? 이제 우리에게 옛 육체란 언제든지 물질을 조합해 다시 만들 수 있는 ... ...
[지식] 세기의 매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매 수를 둘 때마다 150수 이상을 앞서 생각했다. 보리스 스파스키는 한 수를 두는 데 평균 3
초
밖에 걸리지 않았다. 체스를 두는 방식은 전혀 다르지만 체스 천재라는 사실은 확실한 두 사람의 긴장감 넘치는 대국의 결과가 궁금하다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관측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성은 하루가 약 240일일 정도로 느리게 자전하는 행성인데,
초
속 100m가 넘는 바람이 분다. 행성 대기역학 측면에서 대단한 미스터리다. 아카쓰키의 관측 자료를 분석하면 이를 풀 수 있을 것이다.아카쓰키의 또 다른 임무는 금성의 화산활동 가능성을 진단하는 것이다.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남동쪽의 이스미 시와 400km 떨어진 러시아 우수리스크의 관측소에서 핵실험으로 인한
초
저주파가 관측됐다.지진파, 바다 등 다양한 관측소에서 관측된 결과는 30
초
내에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데이터 분석센터로 보내진다. 이곳에서 광산의 화약 폭발 같은 노이즈 데이터를 제외하고 본격적인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않다.익룡과 새의 극단적인 몸집 차이는 이 두 생물의 평화로운 공존을 가능하게 했다.
초
대형 익룡이 등장한 백악기의 새들은 모두 몸집이 작았다. 이들은 물가에서 잠수를 하거나 나무 위에서 살며 열매나 씨앗을 먹었다. 반면 대형 익룡들은 해변이나 내륙을 어슬렁거리며 작은 동물을 ... ...
[News & Issue]조류 발성도 ‘공기 반, 소리 반’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이론이다. 연구팀은 6종의 새를 이용해 발성기관인 시링크스(syrinx)의 근육운동과 음향을
초
고속카메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엘레만스 교수는 “새와 인간은 어릴 때 학습과정을 통해 언어능력을 획득한다는 게 공통점”이라며 “인간의 발성학습과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는 데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