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분화하는 것을 저해하는 단백질(SMAD4)의 발현을 억제하는 miRNA를 발견해 7월 29일 국제학술지 ‘유전자와 발생’에 발표했어요. 즉, 근육줄기세포가 근육으로 분화하게끔 도와주는 miRNA를 발견한 거죠.그: 단백질은 아니지만,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이군요. 그럼… (눈을 희번득하게 뜨며) 결과적으로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신경외과 의사인 세르지오 카나베로 박사다. 황당한 주장 같지만, 그는 진지하다. 2013년 학술지 ‘외과신경학’에 척수를 깔끔하게 잘랐다가 붙이는 방법을 발표했고, 올해 2월에는 머리 이식의 구체적인 수술 계획도 밝혔다. 공여자와 수여자의 몸에서 피부, 신경, 근육, 혈관, 척수 순서로 목을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모방 심리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미국 서던일리노이대 미츠루 시미츠 박사팀이 학술지 ‘식욕’에 발표한 연구결과에서도 과체중인 사람과 식사를 같이 하면 먹는 양이 파스타는 31.6%, 샐러드는 43.5%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쿡방의 또 다른 매력은 마술쇼 같다는 점이다. 피가 뚝뚝 ...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신의 입자’ 힉스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 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펜타쿼크(pentaquark)’라는 새로운 종류의 입자가 ... 이는 검출된 데이터가 펜타쿼크가 아닐 가능성이 1022 분의 1이라는 뜻이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7월 14일자에 실렸다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못 만드는 쓰레기 DNA라고 할지라도 80% 가량은 전사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30여 개 학술지에 연달아 발표되면서 과학자들의 생각이 바뀌었다. 쓰레기 DNA가 정말 필요 없는 것이라면 굳이 전사를 할 필요가 없다. 현재는 간섭 RNA(siRNA) 등이 발견되면서 RNA가 DNA와 단백질의 중간자 역할 외에도 다양한 ... ...
-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몸무게가 부풀려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영국 생물학 전문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2월 15일자에 실렸습니다.영국 리버풀대 근골격생물학과 칼 베이츠 교수팀은 긴 뼈(넓적다리와 앞다리 뼈)의 단면 둘레로 공룡의 몸무게를 추정하는 기존의 방법으로 ... ...
- 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받아들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생각 안 해방송에 나오는 레시피가 항상 건강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지난 2월 학술지 ‘식욕’에는 요리 프로그램을 많이 보는 것이 몸무게를 높일 수도 있다는 미국 코넬대 연구팀의 실험 결과가 실렸다. 연구팀은 평소에 직접 요리를 하는 20대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요리 프로그램 시청 여부와 ...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꼽히는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확인하는 화학도구를 개발해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알츠하이머의 원인 찾는 똑똑한 물질알츠하이머를 앓는 사람의 뇌를 관찰하면 베타 아밀로이드가 많이 발견된다. 이 단백질이 머리 속의 지우개인 셈이다. ...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크리스티나 파파지올고풀루박사(사진)를 e메일로 인터뷰했다. Q 연구 결과가 학술지 ‘해부 기록’에 실렸다. 연구의 성과는?A 시신의 다리 조각이 미라화되는 전 과정을 최초로 관찰했다. 고대 이집트의 방부 기술이 얼마나 과학적이었는지 가장 확실하게 밝힌 셈이다. 미라가 완성되기까지 총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모서리 차기’라고 말한 것이 한때 유머의 소재로 쓰인적이 있다. 하지만 전문 학술용어의 차이는 웃고 넘겨서는 안 될 일이다. 현재 남북한에서는 수과학, 공학, 농수산학, 의약학 등 과학기술 전 분야에서 30만 개가 넘는 고유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전문 과학용어는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