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수각류가 아닌 용반류와 묶은 것도 특이하다”며 “용반류의 용각류 공룡과 이빨
형태
가 닮은 것을 중요하게 보고 판단한 것”이라고 덧붙였다.연구팀이 제시한 족보가 사실이라면 수각류 공룡의 역사도 새로 써야 한다. 지금까지 수각류 공룡은 초대륙 중 지구 남반구에 위치했던 고대 대륙 ... ...
[Career] 5G 기술로 자유를 선물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반사와 회절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파의
형태
가 변한다. 수신자는 변한 전파의
형태
를 통해 송신자가 보낸 정보를 유추해야 한다. 이때 발생하는 오류를 채널 추정의 오류라고 한다. 심 교수는 “여러 안테나가 있는 상황에서는 송신자의 정보를 유추하기가 더 어렵다”며 “이런 문제들을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같은 이동 수단도 등장했죠. 이후 컴퓨터와 통신이 발달하면서 지금과 같은 도시의
형태
가 만들어졌어요. 이처럼 도시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그 모습이 계속 바뀌어 왔답니다.미래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오늘날의 도시가 바뀌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에요. 199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번역하면 난쟁이 탄소관, 난쟁이 은입자 정도로 부를 수 있다. 결국 나노기술이란 원하는
형태
의 난쟁이 물질들을 만들거나, 물질을 구성하는 난쟁이들인 원자와 분자를 의도한대로 조절하는 기술을 말한다. 어떻게 과학자들은 이런 난쟁이들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걸까. 과학자들이 나노세계에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특히 우주먼지는 작기 때문에 떨어지면서 지구 대기에 의해 녹거나 증발하지 않고
형태
와 성분을 그대로 유지한 경우가 있어서 운석보다 더 많은 정보를 품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운석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와 그 안쪽에서 온다. 약 90%가 S형(암석질) 소행성에서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자연선택에 의한 변화뿐만 아니라 유전정보 전달에 의한 변화도 포함한다. 온전한
형태
의 프라이스 방정식은 그래서 [형질의 평균값 변화] = [선택에 의한 변화] + [전달에 의한 변화]가 된다.프라이스 방정식은 모든 종류의 자연 선택을 깔끔하게 설명한다. 단수체건 이배체건, 유성 생식이건 무성 ... ...
[과학뉴스] 드래곤피쉬가 입을 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갖고 있는 날카로운 이빨은 감옥 창살처럼 먹이를 가둔 후 한 번에 삼키기 위해 진화한
형태
라는 거예요.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다른 심해어의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답니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촬영한 자연물들의 사진으로 색상환을 만드셨지요. 자동차를 디자인할 때 자연으로부터
형태
와 색을 찾고 싶었기 때문이랍니다.”미술관 안내를 도와 주신 김현진 선생님의 설명을 듣자 왜 이곳에 자연물들이 많이 전시돼 있는지 의문이 풀렸어요.“이쪽에는 알록달록 색이 예쁜 곤충들 표본이 ... ...
[과학뉴스] 짜서 만드는 전자옷감 메모리 나온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저항변화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베틀로 이 소자를 옷감
형태
로 짜서 구기고, 뒤틀고, 세탁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극을 줬다. 하지만 소자는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이 교수는 “섬유 산업에서 사용하던 장비들을 그대로 활용해 넒은 면적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다”고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증가하고, 이것들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때 철분이 이용 가능한
형태
로 바닷물에 녹아 나오려면 얼음의 화학적 풍화작용이 필수다.얼음의 독특한 화학 반응은 극지방 대기의 조성도 변화시킨다. 요즘 같은 봄철 남극 해빙 지역에서는 얼음에서 아이오딘이 나와 대기 중 아이오딘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