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항 지진, 왜 다시 주목받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일으키기 어려우며, 물 주입 2개월 후 지진이 나 연관성이 적다”고 주장했답니다. 2019년 3월 20일 지열발전소에 의한 촉발지진이다?!“와아아!”지난 3월 2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정부조사연구단이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이라고 발표하자 한 쪽에서 환호성이 울려퍼졌어요. 심지어 ... ...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4, 3, 2), (6, 2, 1), (5, 1, 3)이다. 답별로 순서쌍을 모두 이어 붙이면 9자리의 수를 만들 수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큰 수는 432621513이다. 이처럼 오각형 마방진에 채운 1~10까지의 수를 이어붙이면 16 또는 17자리의 수가 만들어진다. 이 중에서 가장 큰 16자릿수를 찾는 사람이 이기 ...
- [과학뉴스] 인간 근육보다 40배 센 인공근육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스스로 배배 꼬이는 성질을 나타냈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근육은 기존 인공근육보다 9배가량 성능이 향상됐다. 사람의 근육과 비교하면 단위무게당 40배 세다. 겉면에 어떤 재료를 씌우느냐에 따라 반응하는 자극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것도 장점이다. 김 교수는 “포도당에 ...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포물선의 모양이 달라진다. 국제 대회에서 지금까지 가장 높이 올라간 사람의 기록은 19m다. ‘빅재미’를 위해 몸무게가 무거운 친구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만,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입수할 때의 충격은 그만큼 크다는 점을 명심하자. 4. 미국 ┃깔때기 곡면을 따라 ‘으아아~’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나라도 지구상에 또 없을 겁니다. 2016년 서울에서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대국에서 패하면서 딥러닝이라는 용어가 많이 알려졌죠.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이 사물을 잘 알아보게 만들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필요한 일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에게 열심히 사진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170km 송전에도 성공했다.또 웨스팅하우스와 테슬라는 1893년 세계 만국박람회에서 백열등 9만6620개를 교류 방식으로 밝혔으며, 2년 뒤에는 교류발전소를 이용해 나이아가라 폭포에 수력발전소를 세우면서 사실상 교류 방식의 효용성을 인정받게 됐다. 결국 에디슨의 직류발전소는 설 자리를 잃게 ... ...
- [과학뉴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모유 수유 오래 했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화석 5개의 화학 원소 분포를 분석해 식습관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이들은 최소 생후 6~9개월까지 모유를 섭취했으며, 이후 일반 음식을 먹기 시작해 생후 12개월부터는 모유 섭취를 완전히 끊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후 3~4년 뒤 영구치가 자랐으며, 음식의 부족으로 6개월마다 주기적으로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2010년 ‘유럽-아시아 펄스 파워 콘퍼런스(EAPPC)’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받았고, 2015년 9월부터 UST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장 교수의 연구 성과를 눈여겨보고 지도교수가 돼 달라고 연락한 제자는 2017년 입학한 배정수 UST 한국전기연구원 캠퍼스 에너지변환공학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 ...
- 인도, 달 향한 꿈 쏜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이를 훌쩍 넘겨 4년 9개월이 지난 지금도 정상적으로 화성 궤도를 돌고 있다. 2018년 9월 기준 망갈리안이 지구에 전송한 화성 사진만 980장이 넘는다. 이번에 찬드라얀 2호를 싣고 발사를 준비 중인 GSLV MK III은 PSLV를 개량한 것으로, 최대 4t(톤)급 대형위성을 지구 상공 3만6000km의 정지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화합물을 새롭게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nature09299 프로테아좀의 작용 속도를 조절하는 화합물의 기능을 확인하려면 해당 단백질에 화합물을 뿌린 뒤 효과를 관찰해야 한다. 이를 빠르게 자동화시킨 기술이 이 교수가 개발한 고속 대량 스크리닝법이다. 그는 한 번에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