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뉴스
"
높이
"(으)로 총 1,8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성공한다. 하지만 탈출 성공에 도취돼 태양 가까이 가지 말라는 아버지의 충고를 잊고
높이
날다가 에게해에 떨어져 죽게 된다. 아무리 좋은 기술도 ‘성공을 잊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흔히 ‘이카로스의 역설’이라고 표현한다. 이 책은 ‘해리포터 사이언스’ ‘삼국지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진정한 인공지능은 언제쯤
2015.05.23
명령을 받더라도 평소보다 계단이 조금 높거나 낮아지면 발이 걸려 넘어진다. 스스로
높이
를 감지해 발목 힘을 가감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청소용 로봇은 실제로 제한된 주변 환경에 맞춰 미리 다양한 조건을 지정해 입력시킨 경우다. 완벽한 ... ...
‘제14회 전국학생 과학 논술대회’ 참가작 모집
2015.05.15
초중고교생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과학논술은 지정 논제에 대해 각자의 눈
높이
에서 바라본 견해와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면 된다. 과학 독후감은 지정 도서를 읽고 각자의 생각을 쓰면 된다. 지정 논제와 지정 도서 등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mini.itamtam.co.kr/essay2015)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 ...
[청년드림]“공짜 프린팅으로 43만 대학생 홀렸죠”
동아일보
l
2015.05.13
수 있다. 공모전, 인턴 채용 공고 등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도 제공한다. 대학생의 눈
높이
에 딱 맞춘 ‘생활 밀착형 서비스’다. 반응은 뜨거웠다. 대학 복사실 등에 마련된 전용 프린터에는 무료 출력을 하려는 학생이 줄을 이었다. 대학생을 타깃으로 제품을 홍보하거나 이미지 제고를 꾀하려는 ... ...
딱따구리와 동고비의 못 말리는 자식 사랑
2015.05.08
짓는다. 딱따구리 둥지 입구는 한 마리가 겨우 들어갈 정도로 좁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높이
30cm, 너비 20cm 정도로 널찍하다. 둥지를 완성한 뒤에는 알이 깨지지 않도록 톱밥을 깐다. 새끼가 나오면 딱따구리 부부는 본격적으로 ‘맞벌이’를 시작한다. 암수가 교대로 먹이를 구해 온다. ... ...
인공피부는 호크아이를 구할 수 있을까
2015.05.08
것은 아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름 100㎞의 도시를 성층권
높이
인 약 30㎞까지 들어 올려 자유낙하 시키면 전 지구적인 피해는 아니더라도 한 국가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의 경우 동서 간 거리가 약 30㎞이며, 경기도는 130㎞ 정도다. 우주에서 날아온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건 다른 얘기다.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션 솔로몬은 수성 북극 얼음의 양이 “워싱턴DC를
높이
4킬로미터로 덮을 양”이라고 재치있게 비유하기도 했다. 이 연구결과는 2013년 1월 18일자 ‘사이언스’에 실렸다. 2012년 11월 수성 북극의 얼음 발견이 메신저호 미션의 가장 큰 업적으로 꼽힌다. ... ...
[미래를 듣는다 9]“사회 변화 따라가는 인재로 성장해야”
2015.04.30
실천력을 바탕으로 자기계발을 해야지요. 자기계발은 자기의 능력을 키우고 가치를
높이
는 것입니다. 공무원 사회에 필요한 것이기도 지요. 이제 전문가의 시대입니다. 자기 분야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성숙도와 능력을 입증하는 유연한 전문가이자 통섭형 리더가 돼야 합니다.” ... ...
“철제 솥 찾아라” 명령 받은 크랩스터, 2시간 만에 임무 완수
동아일보
l
2015.04.30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수중로봇연구실장은 “다리를 한꺼번에 움직여 보행 속도를
높이
면 최대 초속 0.25m로 이동할 수 있다”며 “물속에서 헤엄을 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크랩스터는 다른 실험을 함께 수행하면서 2시간 만에 철제 솥을 찾아냈다. ○ ‘바다의 경주’ 태안 마도 해역 ... ...
‘7080’ 대표곡 ‘연’ 발표 35년 만에 1집 앨범으로 컴백, 조진원 연세대 교수
2015.04.30
“하늘
높이
날아라. 내 맘마저 날아라~.” ‘7080’ 시대 대표곡 ‘연’의 작사, 작곡가로 잘 알려진 조진원 연세대 언더우드특훈교수(시스템생물학과 교수·57)가 30일 첫 정규앨범 ‘아빠의 노래는 별이 되어’를 발표한다. 1980년 여러 명이 함께 낸 ‘사랑의 듀엣’ 이후 앨범 발매는 35년 만이고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