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주에서 발견된 별에서 온 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7
발견한 앨런 힐스 운석은 물이 있는 곳에서만 발견되는 탄산염 입자가 들어 있어
큰
이슈가 되었어요. 과학자들은 이 운석이 있었던 화성에도 오래 전에는 물이 있었거나, 아직까지 물이 남아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지요.정말 신기하구나! 나도 운석을 주울 수 있을까?아마 어려울 거예요. 우리는 ... ...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7
유충을 키우고 벌통을 지키는 등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무리를 꾸려가요.
큰
무리의 경우 약 8만 마리의 벌이 모여 있다고 하니 엄청나지요?꿀벌 무리의 중심은 오직 한 마리만 있는 여왕벌이에요. 그런데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여왕벌은 아무 것도 하지 않아요. 그저 하루에 수백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
수학동아
l
201407
생각하면, 가장 많은 삼각형의 공통 꼭짓점이 되는 자리에 경비원을 배치할수록 더
큰
공간을 감시할 수 있다.따라서 전체 도형에서 가장 많은 삼각형의 꼭짓점이 되는 색깔의 꼭짓점을 찾으면 전체 공간을 사각지대 없이 감시하는 경비원의 최소 인원을 알 수 있다. ➋번 그림의 경우 파란색 점이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
과학동아
l
201407
도입으로 문턱을 낮추다 그래도 아직 2% 모자랐다. iPS 연구자들은 직접교차분화가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선뜻 진입하기 어려워했다. 유전자 때문이었다. iPS는 ‘야마나카 인자’만 있으면 만들 수 있었다. 야마나카 교수는 배아줄기세포에서 많이 발현되는 4개의 유전자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07
녹는 생분해성 배터리몸 안에서 사용하는 첨단 의료장비가 늘고 있지만, 배터리가
큰
걸림돌이다. 몸에 유해한 배터리는 치료 후 수술로 꺼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 일리노이대 존 로저스 교수팀이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녹아서 몸에 흡수되는 ‘생분해성 배터리’를 개발해 저널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
과학동아
l
201407
비해 여성은 갸름한 얼굴형이 많은 이유를 설명할 수 없었다. 또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큰
어금니로 과일 등 부드러운 음식을 주로 먹은 것으로 나타난 점과도 들어맞지 않는다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07
미래가 기대되는 과학자다. 비엘라프스키 교수는 “UNIST에서 화학 트랙을 이끌게 된 것은
큰
영광”이라며 “화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최고의 교육과 연구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UNIST는 지금도 미래를 위해 전진 중이다.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그래닉 교수는 해외 대학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과학동아
l
201407
과학자도 드물다. 아내는 폐결핵으로 일찌감치 세상을 떠났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큰
아들 칼은 베르덩 전투에서 전사했다. 두 딸이 있었는데, 모두 아기를 낳다가 죽었다. 마지막 남은 아들인 에르빈은 2차 세계대전 중에 반나치운동을 하다가 체포돼 사형선고를 받았다. 플랑크는 히틀러에게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07
어떤 파도가 가장 위험할까. 가장 ‘위험한’ 파도는 파가 갖는 에너지가
큰
파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먼 바다에서 발생해 육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파도가 가장 위험하다. 에너지가 적어 파장이나 주기가 짧은 경우 먼 바다에서 생겨난 파는 멀리 진행하지 못하고 소멸한다. 그러나 충분한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07
전자에 대해 상대성이론을 적용한 양자역학 방정식을 제시했다. 1930년대 물리학의 가장
큰
과제는 디랙의 방정식을 기반으로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가지고 빛을 현대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이었다. 하이젠베르크, 파울리 등 양자역학의 건설자들은 일제히 이 주제에 매달렸다. 제2차 세계대전이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