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심
두려움
무기력
소동
비겁
불실
변절
d라이브러리
"
겁
"(으)로 총 2,1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학교 '다맹그러 스쿨'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탄저균 배양액을 주사하겠습니다. 그리고 12일 뒤에 조금 더 센 탄저균 배양액을 주사할
겁
니다.”파스퇴르는 가축들에게 실험을 시작했다.“그리고 이번 달 말에는 배양액을 주사한 가축들과 주사하지 않은 가축들에게 직접 탄저균을 주사해서 병에 걸리도록 할 것입니다. 결과는 6월 2일에 다시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겁
니다. 미래에서 온 사람들이 노리는 것도 나지만 반대파가 살리려는 사람도 나뿐일
겁
니다. 어서 이 자리를 피하세요.”남 박사는 다시 비웃었다. 그리고 조수가 전송기를 통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보며 생각했다. 휴가 내겠다고 벌인 농담치고는 너무 과하잖아. 어디서 바쁜 사람 데려다놓고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
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데니스 홍 미국 버지니아공대 기계공학과 교수(40)는 에너지가 넘쳐나는 과학자였다. 1시간에 걸친 인터뷰내내 그에게선 연구하는 게 너무 신나고 재미있다는 느낌이 뚝뚝 묻어 ... 로봇이 움직이게 하는 작동장치)예요. 이 문제가 해결되면 집안일을 도와주는 로봇을 볼 수 있을
겁
니다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뛰어나가 버리고 무게중심이 뒤에 남아 있다면 몇 걸음 걷지 못하고 엉덩방아를 찧을
겁
니다. 반대로 다리를 너무 뒤로 뻗어 무게중심을 과도하게 앞 쪽으로 넘기면 고꾸라질 수도 있습니다. 옆으로 작용하는 힘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달리다 말고 무게 중심이 옆으로 쏠리면 반 바퀴 빙그르르 돌아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뛰기 시작해요. 그 모습이 마치 커다란 새가 부리로 쪼는 것처럼 보여서, 포식자라도
겁
을 먹게 된답니다. 걷는 상어지느러미를 이용해 얕은 암초를 따라 걷는 상어예요! 2006년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이 상어는 살금살금 걸어가 새우와 게, 달팽이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어요. 앉아서 받아먹는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1] 유리수는 모두 순환소수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미 나왔던 나머지가 반복될 수밖에 없지요. 그 결과 소수로 나타낸 숫자도 반복되는
겁
니다. 따라서 유리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순환마디가 아무리 길더라도 결국은 순환소수가 됩니다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리고, 그 양은 실제로 늘 점점 커지거나 아니면 점점 작아지는 양이라야 할
겁
니다. 이런 단조적인 불변량을 이용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다행히 이런 이동에서 잘 알려진 양이 한 가지 있습니다. 각각의 사람이 있는 좌표(방 호수)의 제곱의 합Q가 그것입니다(네제곱의 합 등을 대신 써도 됨).k²+(k ... ...
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말씀! 만약 수학적인 분석으로 확률을 높일 수 있다면 저는 이미 복권으로 재벌이 됐을
겁
니다.아! 그런데 한 가지 방법이 있긴 있습니다. 확률을 높이는 방법 말입니다. 복권을 여러 장 사는 것이지요. 1장을 살 때와 10장을 살 때의 당첨확률을 비교해보면 10장을 샀을 때의 당첨 확률이 10배 더 ... ...
진실 여섯! 복권으로 실천한 이웃사랑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노력보다는 요행으로 당첨을 노리다 복권의 노예가 되는 어두운 모습도 떠오를
겁
니다.많은 사람들이 복권의 수익금이 당첨금으로만 사용된다고 알고 있지만 그것은 오해입니다. 복권으로 생긴 수익금의 약 40%는 복권기금으로 쓰인답니다. 한 장의 복권 가격이 1000원이라면 이 중 400원은복권기금이 ... ...
뿔의 부피는 진짜 기둥 부피의 1/3인가요?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이 사실을 의심한다면 아마도 교과서에서 설명이 뭔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겁
니다. 모든 교과서에서는 뿔에 물이나 곡식을 가득 담아 세 번 기둥에 부으면 꽉 찬다는 방법으로 뿔의 부피가 기둥 부피의 1/3이 된다고 설명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부어 보면 정말 꽉 찰까?’ 라는 의문이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