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찾을 수 있는 것이지요.슈쿠텔라 교수는 최대 용량이 L*+D 이하인 경우가 항상 있다는 기존의 추측은 틀렸다고도 밝혔습니다. 1998년 논문에서 세 명의 수학자는 바꾼 문제의 답에 원래 문제의 답이 항상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것이 틀렸다는 것이지요. 그가 수억 개의 특수한 상황을 계산한 결과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래서 지금도 시간 날 때마다 이런 저런 게임을 즐기고 있지요. 보통 게임 개발의 80%는 기존의 아이디어이고, 10%가 새로운 것입니다. 잘 만들어진 게임이 가장 좋은 선생님이지요.Q 게임 개발자는 게임도 잘 할 것 같습니다. 10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긴다면 몇 점 정도 된다고 생각하십니까?정상원 ... ...
- [과학뉴스] 로보어드바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개인의 포트폴리오를 짜 줄 만큼 정교합니다. 자동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기존 알고리즘과는 비교가 안 되죠. 미국에서 인기를 끌면서 작년 가을 국내에도 처음 출시됐습니다. 알파고가 시기를 딱 맞춰 홍보를 해 준 셈입니다. 경제전문지 ‘헤럴드 경제’에 따르면, 알파고 대국 이후 ... ...
- [과학뉴스] 염증 치료물질, 우울증도 고칠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교수는 “일생 동안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16% 정도 되는데, 우울증 환자의 3분의 2는 기존의 항우울제로 치료가 안 된다”며 “이번 연구 성과는 새로운 우울증 예방 및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N극과 S극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 마그넷 컴퓨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않는다고 보고, 소모되는 에너지의 최소 한계를 이론적으로 정의한 것이다. 대략 기존의 컴퓨터 칩이 쓰는 전력의 100만 분의 1 수준이다.이번 연구결과는 휴대전화나 슈퍼컴퓨터 같이 전력 소모 효율이 중요한 장비에 응용될 전망이다. 홍 연구원은 “기술을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표적인 미해결 문제인 P-NP 문제에서 우회로를 제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감히 시도하지 못했던 복잡한 문제에까지 인공지능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아질 거예요.”한보형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말했다. P-NP 문제는 1971년 미국의 전산학자 스티븐 쿡이 ‘정리 증명 절차의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마크는 ‘강화학습’이다. 강화학습은 알파고와 알파고가 경기하며 배우는 것이다. 기존의 데이터만으로는 프로만큼 바둑을 두기 힘들었던 알파고는 강화학습으로 새로운 양질의 데이터를 만들어 바둑 실력을 키웠다. 바둑은 한 경기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가 2.08×10170으로 어마어마하다. 이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박진감 넘치거나 괴기스러운 분위기를 만드는 데는 일등공신이 될 수 있겠지요?저도 기존 음악에서 리듬과 화음을 학습하는 소프트웨어 ‘쥬크데크’를 이용해 음악을 만들어 보았어요.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에서 제가 만든 음악을 한번 들어보세요. 그리고 어떤 분위기의 게임을 ... ...
- [과학뉴스] 일반상대론 적용한 우주팽창 시뮬레이션 등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개념을 반영해 우주팽창을 가장 정교하게 설명하는 시뮬레이션을 발표했다. 기존에도 우주팽창 시뮬레이션은 많았지만 모두 뉴턴의 중력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다. 연구진은 논문을 통해 “새로운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물질의 움직임에 따라 시공간이 변하고 중력파가 생기는 모습을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늘의 일이 아니다. 데이터가 잘못된 직관을 바로 잡아 그 분야를 발전시키기도 했고, 기존의 직관을 데이터가 증명해 더 발전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전자의 예는 중세인들이 믿던 천동설이고(천체 관측 데이터가 쌓이면서 잘못된 이론으로 드러났다), 후자의 예로는 데이터에 기반한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