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소행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은 매우 어두워 맨눈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해 고성능 천체
망원경
이 등장하고 천체위치 계산법이 발달한 근래에 와서야 발견됐다.지구형과 목성형수성과 금성, 이 두 행성은 지구보다 훨씬 태양에 가까운 행성들이다. 나머지 화성 목성 등의 행성들은 훨씬 커다란 궤도를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수 있을 것이다. 달의 크레이터들은 대부분 운석의 충돌에 의해 생긴 것인데, 우리가
망원경
으로 볼 때 작아 보이지만 실제는 지름이 몇십km나 되는 엄청나게 큰 것이다.지구가 특별히 성간 물질이 많이 분포하는 지역을 지날 때 많은 별똥이 나타나는데, 이렇게 별똥이 많이 떨어지는 현상을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우리는 아직 어느 것이 맞는 것인지 말할 수 없다. 지난 1990년 NASA에서 쏘아올린 허블우주
망원경
(Hubble Space Telescope)이 계획한대로 금년말경 수리가 된다면 우리는 조만간 좀더 확실하게 우주의 운명에 대하여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2백억년에 가까운 긴 역사를 지니고 있는 우주의 역사에 비하면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월 일 날씨 온도 구름상태 바람상태 해의 안정상태 등을 기록한다. 흑점수를 세는 방법
망원경
에 선글라스를 끼우고 직시법으로 흑점을 자세히 스케치하면서 수를 센다. 배율은 처음에 태양 전면이 보이는 60배 정도가 좋다. 흑점은 '흑점군'이라 하여 대개 집단을 만들고 있다."지금 보이는 흑점을 ... ...
목성과의 충돌설로 세계의 관심 모은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언제라도 관측이 가능하다.내년은 천문대가 20년이 되는 해다. 그리고 보현산에 1.8m
망원경
이 설치돼 7월 경에는 시험관측도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슈메이커-레비가 보현산 시대의 막을 화려하게 여는 전야제의 주인공이 되었으면 좋겠다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이 흑점군 내의 흑점들은 서로 연관돼 있어 태양 표면에서 같이 이동하게 된다.또 흑점을
망원경
으로 계속 관측하여 보면 흑점이 나타나는 위치가 매일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원인은 태양이 자전하기 때문이다. 흑점의 운동으로 태양의 자전주기를 알아보면 평균 27일이지만 태양의 위도에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분사 발사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한편 디스커버리가 90년 4월 지구궤도에 올린 허블우주
망원경
은 천문학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우주 공간에서 이룩한 경이의 예술92년 5월 챌린저의 후속기로 탄생한 최신형 엔데버호는 몇가지 점에서 우주왕복선사에 신기원을 장식했다. 엔데버 1호는 제자리를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오는 26일에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에로스에
망원경
의 초점을 맞춰보고 중순부터 시작되는 물병자리 별똥별의 장관을 감상해보자.장마가 시작되는 7월은 덥고 습도가 높 ... 있는 아마추어들도 운반성과 분해능, 배율과 좋은 시상을 얻을 수 있는 조합을 8인치급의
망원경
에서 선택한다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되면 달도 상당히 굵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달의 광도도 증가되어 배율이 적은 소형
망원경
으로도 눈이 부시다. 따라서 전용 문필터(moon filter)를 써서 광도를 줄여 관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반달을 지나면 달의 적도 아래쪽에 분화구의 여왕 코페르니쿠스 분화구가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그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많은 양의 물질이 우주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만약에 사실이라면 밤하늘
망원경
을 통해 보이는 별 성운 은하들이란 겨우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양이 된다. 태양 하나를 예를 든다면, 한개의 태양에 거의 1백여개의 태양질량을 합친 정도의 물질들이 우리 눈에 보이지 않고 어디에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