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지구는 태양의 혜택을 얼마나 누릴까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발전소가 이에 해당된다. 태양열 발전에는 일반적으로 3백-6백도씨의 고온이 필요하므로
반사
경이나 렌즈를 이용해 햇빛을 모은다.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전지판을 통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축전지에 저장한 다음 이용한다. 소형 전자계산기, 태양광 자동차, 인공위성의 전원 ... ...
한국최초 홀로그램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입체감과 컬러가 들어간 것이다. 흔히 홀로그램을 보면 무지개빛이 나는데, 이 굴곡에서
반사
된 빛이 회절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현상된 포토레지스터필름은 재질이 약해 바로 인쇄할 수 없다. 그래서 인쇄용 원판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 과정 역시 홀로그램의 질을 좌우하는 노하우. 인쇄용 ... ...
3. 입체 TV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두번째는 홀로그램 자체 데이터량을 줄이는 것보다는 물체에서
반사
되는 빛에 포함된 데이터의 용장도(redundancy)를 줄이자는 것으로 홀로그래픽 비디오라고 한다. 홀로그래픽 비디오는 컴퓨터로 홀로그램을 합성하고, 음향광변조기로 불리는 결정 또는 액정을 통해 간섭 ... ...
2. 홀로그래피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80년대 말 홀로그램이 처음 소개될 때만해도 사람들은 홀로그램에 대단한 환상을 갖고 있었다. 세월이 지난 지금도 필자가 가끔씩 받 ... 물위의 기름막에 줄무늬나 무지개 색깔이 보이는 것은 바로 얇은 막의 앞과 뒤에서
반사
된 빛이 만나 간섭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 ...
2. 반입자와 반물질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내부를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그 원리는 이렇게 출발한다. 광학현미경은 물체로부터
반사
된 빛(광자)을 본다. 파장이 작은 광자를 충돌시킬수록 더욱 작은 물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확대하면 파장이 매우 작은 물질(모든 물질은 빛처럼 파장의 성질을 지님)로 보고자 하는 물체에 ... ...
육체적 고통 속에서 얻은 우주의 신비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추적했다. 여기서 진실된 창조는 육체적 고통을 통해 이뤄짐을 배웠다.한편 구경 1백cm의
반사
망원경으로 광전측광을 할 때는 1초의 여유도 없이 바쁜 연속관측으로 생리적 신진대사마저 참아내야 했다. 특히 밤이 긴 겨울철에 1주일 계속 관측하다 보면 피로가 쌓여 자다가 다리에 쥐가 나기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직각으로
반사
돼 스크린에 밝은 점으로 나타난다. 이때 회전거울을 회전시키면
반사
광의 진로가 달라져 스크린의 점 위치가 변화될 것이다. 푸코는 점의 이동거리와 회전거울의 회전수 등을 측정한 뒤 일련의 계산 과정을 거쳐 빛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물 속에서의 빛 속도를 측정할 때도 같은 ... ...
과학을 선도하는 SF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스탠리 큐브릭의 SF걸작 '시계태엽 위의 오렌지'(A Clockwork Orange)에는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
'가 인간에게 적용된 충격적인 장면이 등장한다. 정부는 강간과 폭행을 일삼는 비행소년 알렉스를 개조하기 위해 억지로 강간과 폭행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무력해지는 약을 투여해 구토하게 만드는데, 이로 ... ...
2. 최고급 윤활유 가진 관절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무엇 하나 손에 쥘 수 없으며 조그만 바람도 결코 멎지 않을 것이다. 또 어떠한 소리도
반사
를 계속하면서 사라지지 않는 메아리가 될것이다. 지구의 모양도 들쑥날쑥한 부분이 전혀 없는 완벽한 구가 될 것이다.탐구활동/운동종목마다 신발이 다른 이유축구와 야구는 거의 비슷한 조건의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감소시키는 두 가지 방식을 통해 소화관을 통제한다고 생각했다. 소화관은 단순히
반사
기능만 갖는 대상에 불과했던 것이다. 그리고 아무도 소화관에 있는 신경섬유를 헤아려 보지 않았다. 그러나 한 실험에 따르면 소화관에는 무려 1억개의 뉴런이 있는데, 이는 척수에 있는 것보다 많은 숫자다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