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어떤 모습일까. 혹시나 화성에서 한 움큼 가져온 토양에서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가
발견
되기라도 한다면 지금까지 알려진 생명의 기원 이론이 통째로 바뀔지도 모른다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스파레 아셀리라는 또 다른 이탈리아 과학자가 개의 위장을 해부하다가 우윳빛 혈관을
발견
했다. 지금은 림프구 등 백혈구의 존재가 알려졌지만, 당시에는 ‘혈관은 붉은색이어야 한다’는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인간이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의 두 가지 면역 경로를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
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보여주는 데 그쳤다”고 설명했다. 바레시누시는 2015년 CNN과의 인터뷰에서 “HIV를
발견
할 당시 순진했던 우리는 바이러스와 신체의 상호작용이 이처럼 복잡하다는 걸 인지하지 못하고 치료제와 백신이 금방 개발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과학은 놀라운 발전을 이뤘지만, 오늘날 HIV를 완전히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
한 공로로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칭커나겔은 1996년 12월 10일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우리가 지금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스톡홀롬에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면역학에 대한 고정관념이 없었기 ... ...
성층권에 기구를 띄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더 신기한 것도
발견
했어. 저쪽 기구에는 작은 로켓이 달려있네? 어랏? 갑자기 로켓에 불이 붙기 시작했어. 설마 저 로켓이 지금 우주로 발사되는 거야? 기구, 로켓 발사대가 되다! 로켓 발사라고 하면 흔히 땅 위 거대한 발사대에 세워진 로켓이 우레와 같은 굉음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가는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월동 중인 독수리였는데, 먹이를 한참 못 먹어 굶주린 데다 부상을 입은 상태였다.
발견
당시 몸무게가 6kg밖에 되지 않았는데, 보통 독수리의 몸무게가 8kg 이상인 것에 비하면 깡마른 상태였다.그때부터 한 달 동안 충북야생동물구조센터와 청주동물원의 수의사들이 협력하여 정성스럽게 돌봤다.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오직 연착륙 모형뿐이었어요. 프랭크 교수는 “이 연구 결과가 외계 문명의 증거를
발견
하기 어려운 이유를 푸는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떠올랐죠. 그리고 제가 직접 토목 현장을 방문해서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요소를
발견
하고 데이터를 추가해가며 분석했어요. 그랬더니 결과가 더 좋게 나오더라고요. 그런 과정에서 선형대수학의 지식을 활용했고요. 책 속 문제가 아니라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 개념을 쓰니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언제부터 번지기 시작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의학계에서는 원숭이에서
발견
되는 원숭이면역결핍바이러스(SIV)에서 HIV가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출현 시기를 1930년대로 보고 있다. 1900년대에는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고 높은 치사율을 보였기 때문에 한때는 ‘20세기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기니를 중심으로 서아프리카에서 대규모 유행이 발생했고, 이는 에볼라바이러스의 첫
발견
이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에볼라 유행이었다. 당시 에볼라바이러스는 치사율이 70%가 넘는 자이르에볼라바이러스의 변종으로 밝혀졌다.세계보건기구(WHO)는 2014년 8월 8일 에볼라바이러스에 대한 ‘국제적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