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세포 사이의 대화 수학으로 엿듣는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일어난다는 것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세포 사이의 복잡한 의사소통을 단순화시킨 수학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세포를 원 위에서 움직이는 두 점으로 나타내자, 두 점이 점점 가까워져 결국 동시에 움직이는 동기화 현상을 나타냈습니다. 연구를 이끈 김 교수는 ... ...
- [수학뉴스] 카르탕-아다마르 추측 풀렸을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보이는 문제입니다. 등주 부등식은 다양체 위의 폐곡선의 둘레와 폐곡선이 만드는 면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부등식으로, 이 부등식을 이용하면 어떤 곡선의 둘레가 일정할 때 면적을 가장 크게 만드는 모양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둘레가 일정할 때 넓이가 가장 큰 평면도형은 원이고,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지도의 각 나라마다 꼭짓점을 그리고, 두 나라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 두 꼭짓점 사이에 선을 연결해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이때 선을 잘 그리면 서로 다른 두 선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지도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서로 다른 두 선이 교차하지 않도록 평면에 그릴 수 있는 그래프를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반드시 모든 정보가 ‘저장소’를 거친다는 점이에요. SNS로 주고받은 말은 나와 친구 사이에 바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저장소를 한번 거쳐 전달돼요. 이렇게 남은 정보는 현실에서의 활동을 그대로 반영하죠. 즉 데이터만으로 모든 상호작용을 알 수 있는 시대가 된 거예요! 데이터 세계에서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몇 개냐고요? 그건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그러니까 4차원에서는 5만 개와 10만 개 사이 어딘가에 소시지 모양과 빽빽한 모양의 경계가 있다는 사실만 알 뿐 몇 개인지 정확히는 모르죠. 5차원부터는 조금 다릅니다. 만약 토트의 소시지 추측이 사실이라면 5차원 이상일 때는 항상 소시지 모양이 ... ...
- [서술형 완전정복]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인구조사를 바탕으로 통계를 내보니 x년 전 이 도시의 인구를 y명이라고 할 때, x와 y 사이에는y=1000(0.25x²-4x+100)의 관계가 성립했습니다. 이 도시의 인구수가 최소인 해와 그때의 인구수를 구하세요. 도전문제2. 아래와 같이 울타리를 만들어 직사각형 모양의 화단을 만들고, 가운데에 울타리를 세워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동안 과학자들은 산호초에게서 답을 찾으려 했어요. 그러다 지난 5월 23일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대학교 브랜들박사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팀은 다윈의 역설에 대한 해답이 산호초 바닥에 사는 작은 물고기들에게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해답으로 제시한 물고기는 해양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마침내 올해 6월부터 남극에서 빙하코어 시추를 시작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올해 가장 주목해야 할 뉴스 중 하나로 이 프로젝트를 꼽기도 했다.시추는 2025년 5월까지 6년간 계속될 예정이다. 허 책임연구원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높아지면서 예상치 못한 구조를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열 외에도 주변에서 쉽게 수열을 찾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다보탑은 건축물과 탑 사이의 관계를 1 : 2 : 4 : 8이라는 등비수열의 항으로 설계됐어요. 음악에서 1옥타브를 반음씩 12등분한 ‘평균율’은 등차수열, 이렇게 조율한 건반 악기 소리의 진동수는 등비수열을 이루죠.이번 호에서는 코딩 ... ...
- [교육뉴스] 수학 실력에 성별 차이 없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결과가 나왔습니다. 제시카 캔턴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뇌인지과학과 교수팀은 3~10세 사이의 여아 55명, 남아 5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연구진은 아이들에게 수학 개념을 담은 영상을 보여준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뇌를 촬영했습니다. 추가로 성인 63명의 뇌도 함께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