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국"(으)로 총 2,386건 검색되었습니다.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사와야 할 기술로는 통신위성이나 우주왕복선, 무기 등만이 남았을 뿐이다.일본이 외국의 기술을 들여와 '더 작은 것'을 착상했다면 우리는 우리 문화에 기반을 둔 제품들을 응용해 이를 발판으로 삼으면 된다는 점에서 그는 공기방울 세탁기나 국 끓이는 전자 레인지, 물걸레 청소기 등 최근 ... ...
- 윈도우의 등장과학동아 l1993년 07호
- 구애받지 않고 쉽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외국에서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을 아무런 수정없이 직수입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결과로 한글의 입력보다는 수치입력이 위주인 스프레드시트 분야의 경우 국내에서 개발된 ... ...
-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산성비에 의한 금속부식실험장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에서와 같은 산성비의 피해는 그다지 문제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으며 피해사례도 아직까지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내륙과 고비사막 지역의 흙모래(황사)가 많이 날아오는 봄철에는 오히려 ... ...
- 1. 인간의 혈액형은 400가지 이상과학동아 l1993년 07호
- AB형이 11%나 되는데, 이는 다행한 일이라 할 수 있다. ABO형이 일치하는 혈액을 구하기가 외국에 비하여 비교적 쉽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Rh 혈액형의 빈도도 인종간에 차이가 많은데 한국인의 경우 0.1%만이 Rh 음성이므로 1천명에 1명만이 음성인 반면 서구인들은 15%가 음성이다. 반면 1954년에 ... ...
- 4. 동식물에게도 혈액형이 있다는데과학동아 l1993년 07호
- 밝혀진 바 있다."국내에서는 아직 동물의 혈액형에 대한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않지만 외국의 경우 이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척된 것으로 압니다. 가령 소에는 A B C F J L M S Z T라는 혈액군 안에 수십개의 혈액형 항원이 존재하며 말에는 A C D K P Q U 혈액군 안에 20여개의 혈액형 항원이, 돼지에는 1 ... ...
- PC통신 공개자료실과학동아 l1993년 07호
- 복잡하고 어려운데 반해 위한글은 수식입력전용 대화상자와 기호툴 바를 제공하여 마치 외국의 워드프로세서들과 같이 마우스와 아이콘을 이용해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그리고 워드프로세서의 기본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는 미리보기 기능도 지원한다. 그러나 완벽한 확대 및 축소 기능은 아직 ... ...
- F-16·F/A-18 성능비교과학동아 l1993년 06호
- 특수 장치를 해 밖의 목표물이 보이면서도 조작중인 계기판이 비쳐 보이도록 만든 것. 외국에서는 일부 고급승용차에도 이 장비가 채택된 경우가 있다고 한다.이 HUD 장비는 개량된 F-16D(블록 40)에서도 채용하고 있는데, 비용이 워낙 많이 들어 국내에 들어오는 F-16기 1백20대 모두에 장착되지는 ...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과학동아 l1993년 06호
- 하얀꽃은 아카시아 꽃이 아니라 아카시나무의 꽃이다.아카시아와 아카시나무는 똑같이 외국원산 식물인데, 아카시아는 오스트레일리아산의 노란꽃이 피는 떨기나무다. 중국의 남쪽과 대만에도 자생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식물원에서도 보기 힘든 편이다. 반면에 우리 둘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큰 ... ...
- 직관력 갖춘 '4차원 컴퓨터' 프로젝트 시작과학동아 l1993년 06호
- RWC(Real World Computing Project, 일명 4차원 컴퓨터 계획)을 시작했다.독일 스웨덴 덴마크 등 외국 기업과 연구소도 참여하는 이 프로젝트는 연구기간 10년, 총예산은 현재 시점에서 7백억엔(우리돈 약 5천억원)으로 추산되는 대형 프로젝트다.모호하고 불확실한 정보로 가득찬 세계에서 인간은 그것들을 ...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과학동아 l1993년 06호
- 몸 속에도 시간을 알려주는 생체시계가 있는 것일까. 우리는 밤에 일하면 아주 피로하고 외국여행을 하면 시차를 느낀다. 이것은 분명 우리 몸 속에 시계가 있다는 증거다.많은 생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이러한 의문을 갖고 이 문제를 풀기 위해 탐구해 왔다. 이제 우리도 생물학자들이 알아낸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