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점에 주목하고 있었다. 그리고 체세포와 수정란의 차이를 만드는 비밀은 유전정보를
전달
하는 데 기능이 집중된 정자 대신 난자에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난자는 수정란이 발달하는 데 필요한 거의 대부분의 요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핵이식 기술은 이런 가정을 증명한 획기적인 기술이었다. ... ...
태양에서 물이 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달 표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얼음 형태의 물 입자가 태양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양 리우 미국 테네시대 박사팀은 달에 있는 물 입자를 분석한 ...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달의 물 입자를 이루는 수소이온은 태양풍에서
전달
됐다는 결론을 내렸다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1997년 인류는 ‘순간 이동’의 가장 기초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양자 전송’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2003년 양자 전송의 거리는 800m로 늘 ... 할 것이다. 또 원자 1개를 보낼 수 있는 현 기술이 사람 몸속에 있는 수많은 원자 상태를
전달
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려면 아주 먼 미래가 돼야 한다 ... ...
[시사] 수학으로 건져 올린 침몰선 “응답하라! 후지카와마루"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잠수병 때문이에요. 우리 몸은 혈액을 통해 대사 물질과 산소나 질소 등을 필요한 조직에
전달
합니다. 그런데 물속에 깊이 들어가면 압력이 증가하면서 기체가 혈액 속에 더 많이 녹아 들어가게 돼요. 이를 ‘헨리의 법칙’이라고 하지요.따라서 다이버가 수심 깊은 곳으로 들어가면 혈액 속에 많은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근거로 어린이가 MSG를 많이 먹으면 과잉행동장애에 걸린다고 주장한다. 권 교수는 “신경
전달
물질은 우리 몸이 농도를 엄격하게 조절하는 물질이라 많이 먹는다고 뇌에서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뇌와 혈액 사이에 있는 혈뇌장벽이 아무 물질이나 마음대로 뇌로 들어가지 ... ...
‘불산’ 무섭지만 버릴 수 없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특히 칼슘이온이 결핍되면 심각한 결과로 이어진다. 칼슘이온은 다양한 생체신호를
전달
하는 고리이기 때문이다. 또 혈액 내 칼슘이온 농도는 신경세포의 활동에 영향을 준다. 칼슘이온이 극단적으로 떨어지면 호흡근육이 굳어져 질식사한다.이처럼 불소는 절대 우리 몸에 들어와서는 안 되는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그런데 중요한 점이 있다. 이 과정이 항상 일정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시냅스로
전달
되는 신경전기신호는 일정하지만, 시냅스에서 그 신호가 크게 증폭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조건화 반응을 통해 공포를 학습시켜 보자(예를 들면, 종소리가 울릴 때마다 쥐에게 전기 충격을 준다).공포 기억이 뇌에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활성이 결정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어서 구아닌 수용체가 어떻게 세포 안에서 신호를
전달
하고 조절되는지도 연구했다. 마지막으로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와 로돕신 수용체 말고도 비슷하게 생긴 구아닌 수용체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구조를 밝혔다. 레프코위츠와 코빌카 박사는 ... ...
양날의 칼, 나노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있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미래에너지라 부르는 태양전지, 연료전지 안에서 에너지를
전달
하는 분자와 전자는 크기가 매우 작다. 에너지가 발생하는 물리화학 반응 또한 나노 수준의 극히 좁은 공간 안에서 이뤄진다.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기존 ‘거시적’ 설계방식 대신 나노 크기로 ... ...
[11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읽는 사람이 허벅지를 ‘탁’ 칠 수 있도록, 독자들이 가려워하는 과학 정보지식을
전달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번 호 청소년 기자 코너 제목과 같이 가려운 곳을 ‘재미있게’ 긁어주는 청소년 기자 기사가 됐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번 호를 시작해 본다. 한국디지털미디어고 정겨울 학생의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