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자료는 같고 해석의
차이
가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정말로 원본이 같다면 왜 이런
차이
가 생긴 것인가.개인적으로 우리가 좀 더 꼼꼼하고, 더 깊이 자료를 분석했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우리는 신대륙인이 하나의 조상에서 기원된 것이 아니라는 결론을 얻었다. 반대쪽에서는 우리보다 그 문제를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 인디언포커는 자신의 카드를 못보고 상대의 카드만 볼 수 있는 것이 핵심인데 이것은
차이
가 없나.정 : 결국 내가 아는 정보의 양은 동일하다. 상대편의 머리 위에 있는 카드가 내 카드라고 생각하고 플레이해도 결과가 똑같을 것 같다.엄 : 영희의 내쉬균형을 구하는 방법도 AKQ와 똑같다. 앞서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줄이는 방법입니다. 순간순간 계산한 최적의 경로와 실제 드론이 움직이는 경로에는
차이
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오차를 계속 줄여나가는 방식으로 최적화하는 것이죠. 여기에는 ‘최소제곱법’이 쓰입니다. 최소제곱법은 오차값을 제곱해 더한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수학적 기법입니다. 예를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최대가 되도록 규칙을 정해놓으면, 드론은 여러 바퀴를 돌면서 입력한 비행경로와의
차이
를 점점 줄여나갑니다. 생쥐가 미로를 빠져나왔을 때 보상으로 치즈를 주는 것과 비슷한강화 학습이죠.시동이 꺼지면 자동차는 그냥 멈추지만 드론은 추락합니다. 실제로 드론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드론의 ... ...
한글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조금씩 바뀌면 이름이 달라진다. 처음에는 기본 폰트의 굵기를 두껍게, 또는 얇게 만들어
차이
를 뒀다. 이후에 한글은 로마자와 다르게 블록을 쌓듯이 만든 글자라서 정사각형틀에 맞추면 오히려 왜곡이 일어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래서 세로로 긴 직사각형틀에 맞춰진 폰트가 나왔고, 그중 하나가 ... ...
시력 좋은 아리랑 3A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수 있지요.아리랑 3A호는 적외선 센서를 갖고 있어 적외선 영상을 찍어 촬영 지역의 온도
차이
도 확인할 수 있어요. 적외선 영상에서는 온도가 높은 지역은 빨간색으로, 낮은 지역은 파란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이지요. 이를 통해 도시의 열섬 현상이나 기후 변화를 분석할 수도 있답니다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카메라와 사물 사이의 거리차를 감지하는 원리지요. 하지만 밝은 빛 아래에서는 깊이의
차이
를 잘 나타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과 캐나다 전문가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는 소식입니다. 그래서 깊이 감지 카메라를 직접 만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베르너는 달이 움직이며 고정된 별을 스쳐 지나가는 시간을 재서 항구와 배의 시간
차이
를 알아내자고 했다. 하지만 별의 위치를 제대로 확인하거나 배 위에서 달과 별을 매일 관측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1735년에 이르러 존 해리슨이라는 시계공이 새로운 해상시계 ‘H-1’을 들고 나타났다. 새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많다”고 말했다. 이런 모델에서는 초기 조건의 미세한
차이
가 어마어마한 결과값
차이
를 가져오는 ‘나비효과’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불꽃이 어색해 보이고 일기 예보가 틀리는 이유다.채 교수는 “현대 수학은 편미분방정식을 이해할 준비가 아직 덜 돼 있다”고 ... ...
[Knowledge] 외야 펜스의 담쟁이덩굴이 외야수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ESPN 파크팩터를 이닝 보정 지수로 나누면 해당 팀의 원정경기와 홈경기의 득점의
차이
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를 ‘득점 지수’라고 부른다. 득점지수가 1.1이라면 이 팀은 홈에서 원정보다 정확히 10% 득점을 더 많이 한 것이다. 여기서 앞서 미처 생각하지 못한 복잡한 문제가 하나 끼어든다.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