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수학동아 l2010년 10호
- ㅇ, ㅍ 은 점대칭 도형이면서 선대칭 도형이기도 하지. 그렇다면 모음은 어떨까? 모음은 하늘을 의미하는 •(천)과 땅을 뜻하는 ㅡ(지), 그리고 사람을 뜻하는 ㅣ(인)을 기본으로 만들었어. 도형을 다루는 기하학의 기본 요소인 점과 선을 이동하고 회전해 여러 개의 모음을 만든 거야. 먼저 ㅡ는 ... ...
-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수학동아 l2010년 10호
- 혹시 피라미드의 주인? 가장 큰 의문을 남겨 두고 피라미드를 떠난다. 허풍의 퍼즐쇼!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 아시죠? 정말 밥 한 끼 먹을 돈도 없었는데…. 비록 진짜 보물은 아니지만 이렇게 상금을 받았으니 보물을 찾은 거나 다름없죠. 하하. 한동안 편히 여행할 수 있을 것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10호
- 귀퉁이에서 이런 문장을 발견했다.(夫天之理, 始於數也. 故以數可以造和世上, 豫見未來.)하늘의 이치는 수에서 나온다. 수를 이용하여 세상을 조화롭게 만들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일을 할 수 있다.지오는 이 문장을 입 속으로 읊조리고 또 읊조렸다.‘그래. 수처럼 조화로운 것은 없을 거야. 모든 ... ...
- 학교에 가다! 2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함께 하는 *MIE 수업! 오늘은 그 두 번째 시간이었어. 친구들도 이젠 하늘을 나는 비밀을 알았겠지? 그건 바로 양력! 거울에 대해 배웠던 첫 수업도 재밌었지만, 오늘 수업은 더 재밌었어! 부머랭은 장난감인 줄만 알았는데, 날개의 모양 변화를 생각하고 탐구해 보니 정말 멋진 과학교구인 거 있지! ...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생각을 가져야 한다. 극심한 경쟁사회와 복잡하고 빠르게 돌아가는 일상에서도 가끔 하늘과 자연을 돌아보는 여유를 갖는다면 ‘마음병’과 자포자기식 유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 ...
- 인류의 희로애락 품은 탈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색과 젊은 취발이탈의 붉은 색이 각각 겨울과 여름을 상징한다. 눈을 뜨고 있는 연잎탈은 하늘을, 눈을 감고 있는 눈끔적이탈은 땅을 상징한다. 또 우창부탈의 오른쪽으로 굽은 코는 성공을, 좌창부의 왼쪽으로 굽은 코는 실패를 상징한다.신의 얼굴부터 원혼과 역귀까지신라 산신의 탈이나 하회 ...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 3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모두 찾아 주었어. 그랬더니 물고기들이 고맙다며 집으로 가는 길을 알려 주었지. 야호! 하늘에서 떨어지고, 사막을 지나 심해를 헤엄치다가 드디어 집으로 가는 구나! 그런데 이럴 수가! 거대한 물고기 미로를 통과해야만 집으로 갈 수 있다는 거야. 물고기 입으로 들어갔다고 해도 이 복잡한 미로를 ...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인간은 태풍과 홍수, 폭설, 화산 폭발 같은 지구의 자연재해 앞에서 나약한 존재다. 하지만 인간의 삶을 쥐락펴락하는 지구도 우주의 재해 앞에서는 바람 ... 정보를 확인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하늘이 사라진다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염색하거나 음식의 색을 내는 데 사용했던 것이다. 치자는 노란색, 소목은 붉은색, 쪽은 하늘색으로 염색하는 데 이용했다. 또 느릅나무껍질은 살구색, 밤껍질은 옅은 갈색, 양파껍질은 노란색, 홍화는 분홍색을 내는데 이용했다. 이렇게 천연염색으로 면이나 비단을 염색해 정성스레 관복도 만들고 ...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지난 5월 출간된 하버드대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저서 ‘정의란 무엇인가’가 수개월째 베스트셀러를 달리고 있다. 결코 읽기 쉽지 않은 인문서적이 무라카 ... 않은 것도 이 때문이 아닐까. 1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하늘이 사라진다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