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자
의뢰인
고객
단골
환영
사건 의뢰인
정신병자
d라이브러리
"
환자
"(으)로 총 2,7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특수 염색한 장딴지 신경조직 단면을 광학현미경 400배 배율로 찍은 작품이다. 이
환자
는 말초신경이 양파껍질 모양처럼 증식하는 유전병에 걸렸다. 장미꽃에서 연한 분홍색을 띠는 부분은 슈반세포 돌기, 파란색은 콜라겐이 침착된 것, 붉은 점은 슈반세포의 핵이다. 08. 벚꽃 사이로 보이는 하늘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명이 다해 죽으면서 각종 증상을 일으킨다. 다시 말해 지금 누군가가 유구낭미충증
환자
로 판명된다면 그건 20년 전에 남보다 먼저 먹으려고 불그스름한 삼겹살을 먹은 탓이지, 몇 달 전에 가족끼리 먹은 삼겹살 때문은 아니다.그러니 안심하시라. 삼겹살은 적당히 익었을 때 먹어도 된다. 탄 걸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억상실증을 다룬 영화 60편을 분석한 결과 많은 장면이 부정확하다”며 “실제
환자
가 자신의 이름 등 정체성을 잃어버리는 경우는 드물며 새로운 기억을 잘 간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영화 ‘니모를 찾아서’에 등장하는 기억상실증에 걸린 물고기가 현실에 가장 많은 사례라고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관이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이런 현상이 계속되면 우리나라에서 자폐증
환자
가 많이 나올 것”이라며 우려했다.신관중 주소연 수학 교사는 “19단 열풍은 최근 교육이 창의성 중심에서 다시 학력 중심으로 변하는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 교사는 “학력이 강조되는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중 각막이식수술로
환자
의 시력을 회복시켜주는 코너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의사는 “
환자
가 예전에 스스로 볼 수 있었던 적이 있는지”를 묻는다. 뇌가 당시의 시각회로를 기억하고 있어야 각막 이식 후 시력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다른 예로 간질 치료를 위해 뇌의 좌반구를 절제한 소년의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전두엽이 인출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황에 맞는 단어를 정확히 얘기하지 못하는 실어증
환자
는 기억을 인출하는 전두엽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손목이 아프다”라고 말하지 못하고 “여기가 아프다”라고 말한다. 손목이라는 단어를 인출하지 못하는 것이다.기억은 뇌 안에서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손상돼 서술기억에 문제가 생긴 것일까. 연구자들은 H.M.뿐 아니라 유사한 기억장애
환자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뇌 측두엽에 들어있는 해마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실험동물에서 해마를 인위적으로 손상시켜본 연구자들은 해마가 서술기억 저장과정을 주도하는데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흡수되는 것을 방해해 포만감을 주므로 과식을 하지 않게 한다. 여러 비만클리닉에서
환자
들에게 식이요법으로 배추, 샐러리, 양파 같은 고섬유질 채소를 많이 섭취하도록 권장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 호박이나 당근 같은 부드러운 채소는 상대적으로 섬유소가 적다. 섬유질은 대장운동을 도와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암 가운데 특히 치료가 어려운 뇌암치료에 적합하고 방사선 조사나 화학치료법보다
환자
고통을 줄일 수 있어 현재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연구단 역시 하나로 원자로 주변에 BNCT 실험장치를 설치하고 현재 동물을 대상으로 임상실험 중이다.하나로는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것을 볼 수 있다.의식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와 그렇지 못한 정보의 구분은 비단 뇌손상
환자
에게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의식적으로 자각하지 못하는 정보들이 행동에 영향을 주거나 뇌 영상에서 활성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과거에 우연히 접했지만 지금은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