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지
방해
중단
중절
단선
둥에서 잡기
가로채기
뉴스
"
차단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도 ‘워라밸’ 하고 싶다? 과학적인 팁 5가지
2018.05.17
등으로 인해 하루 종일 일 속에서 헤어나오기가 쉽지 않죠. 때로는 의도적인 디지털
차단
이 필요합니다. 하버드대학의 의학자이자 심리학 교수인 로버트 브룩스는 그의 책 ‘탄력의 힘’에서 휴대전화를 끄고 순간을 즐기는 게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근무 시간에는 계속되는 스마트폰의 알림이 ... ...
멸종위기종 보호 나선 천문학자들
과학동아
l
2018.05.17
. 아스트로피로 개발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이 영상을 분석한 결과, 식물의 열
차단
효과를 이용해 나무나 수풀 속에 숨어있는 동물을 탐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지구상에 400마리가 채 남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멸종위기 종인 강토끼(Bunolagus monticularis)를 5차례 ... ...
[이강운의 곤충記] 우아한 나비의 독점적 번식욕
2018.05.16
짝짓기주머니(Sphragis)는 놀라운 자연 현상으로 다른 수컷이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아예
차단
한, 자기 자식만을 번식시키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특수 장비라 할 수 있지만 내 씨만 전달하려는 이기적이고 극단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곤충을 따라다니다 보면 진화의 긴 시간을 뒤돌아보게 된다. ... ...
아이유는 왜 속삭였을까...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
과학동아
l
2018.05.06
KIST) 바이오닉스연구단 연구실에서 이뤄졌다. 연구팀은 피실험자인 신 기자를 사방이
차단
된 실험 부스에 앉힌 뒤, 알록달록한 수영모를 연상시키는 뇌파(뇌전도·EEG) 측정 장치를 머리에 씌웠다. 뇌의 64개 부위에서 신경세포들의 전기적인 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였다. 연구팀은 두피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활성형(T-705RTP)으로 바뀌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게놈의 복제(replication)를 교란해 증식을
차단
한다. 파비피라비르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뿐 아니라 그림의 에볼라바이러스(EBOV)를 비롯해 다른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놈 복제에 관여하는 RNA중합효소의 구조가 다들 ... ...
드루킹 막으려면 이게 최선?...네이버 댓글-공감 제한키로
동아사이언스
l
2018.04.25
사용 가능성이 낮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IP 접근
차단
▲기계적 어뷰징 의심 ID에 대한
차단
등 기술적 대응을 강화한다. 네이버 관계자는 "궁극적으로 뉴스 댓글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사용자가 똑같은 정보를 보는 구조에서 사용자마다 다양한 정보를 보는 구조, 사용자가 마음대로 정보를 ... ...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
과학동아
l
2018.04.25
유전학부 선임연구원은 “종양세포가 줄기세포의 특성을 갖기 시작하는 지점을 알아내
차단
하면 암으로의 발전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캐롤린 허터 국립인간유전체연구센터(NHGRI)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다양한 암 유전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만큼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일 ... ...
남북 종전 선언 기대 속… 북한 IT과학은 어느 수준?
2018.04.19
1에 해당하는 약 400만 명이 스마트폰을 쓰고 있습니다. 모두 북한 외부 지역과의 접촉은
차단
돼 있으며, 감시를 위한 기본 도구들이 설치돼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변형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북한에서 가장 대중적인 스마트폰은 ‘아리랑’입니다. 덴마크의 소프트웨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H+)을 위 내강으로 내보낸다. 위산분비는 여러 신호에 따라 정교하게 조절되므로 신호를
차단
해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도 있지만(예를 들어 히스타민수용체(H2)길항제) 여기서는 다루지 않았다. - Memorang 제공 비유하자면 양성자 펌프는 양쪽에 문이 있는 출입구다.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왼쪽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결과 식물을 구성하는 세포 사이의 연결 채널인 ‘원형질 연락사(Plasmodesmata)’의 통신이
차단
되는 일부 원인을 규명했다. 식물 세포에서는 세포벽을 통해 물에 녹는 미세한 단백질이나 용질 등 크기가 작은 물질이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크기가 큰 물질들은 세포벽을 투과하지 못한다.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