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덮개
커버
표시
책표지
뚜껑
간판
사인
뉴스
"
표지
"(으)로 총 2,170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리브해·브라질 북동부가 지카 바이러스의 거점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8
읽는 과학 - 네이처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
에는 유전체(게놈) 해독 데이터를 모티브로 모기의 형상을 나타낸 이미지가 실렸다. 15일자 ‘네이처’에는 ‘지카 바이러스(ZIKV)’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게놈 분석 결과가 3편의 논문에 걸쳐 공개됐다. 지카 바이러스의 유전역학에 한 ... ...
고산병 치료제로 암세포 찾아가는 근적외선 광역학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6.18
방사선 항암 치료를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근적외선 광역학치료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김종승‧김종훈 고려대 교수, 이진용 성균관대 교수와 조나단 세슬러 ... 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 6월 7일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
종양생물학, 중국 기관이 게재한 논문 107편 철회
과학동아
l
2017.06.17
심사의견을 허위로 꾸며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종양생물학은 종양 표적 치료와 종양
표지
자에 관련한 임상 연구를 주로 다루는 저널로, 1년에 6번 격월로 출간된다. 초판은 1980년 발간됐다. 최근까지는(2010~2015년) 스프링거 네이처가 출판을 했고, 현재는 영국 SAGE 출판사가 저널을 인수한 상태다. ... ...
동물실험없이 항암제 독성 시험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포유 동물 실험 없이 항암제 독성을 시험하는 기술이 나왔다. 동물 실험 윤리 논란을 피하면서도 연구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대된다. 강경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천연 ...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독성학분야 국제학술지 ‘환경독성학회지’ 6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
빅뱅 후 초기 우주에 관한 새로운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최초로 ‘양성자 간’ 충돌에서도 관측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 6월호에
표지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번 성과에는 윤 교수 비롯해 부산대 연세대 등 국내에서도 7개 기관 25명의 과학자가 기여했다. 기묘입자는 양성자나 중성자를 구성하는 6종류의 쿼크 중 하나인 ‘기묘쿼크’를 ... ...
현생 인류, 10만 년 더 일찍 출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표지
로 읽는 과학]네이처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
에는 모로코의 한 유적지에서 발굴된 현생 인류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 모습이 담겼다. 독일과 모로코 국제 공동연구진이 연대를 분석한 결과, 이 유골은 지금으로부터 최소 30만 년 전의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발굴된 호모 ... ...
심장이 잘려 나가도 생존하는 제브라피쉬의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
표지
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 아주 작은 심장을 촬영한 장면이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
를 장식했다. 사진의 주인공은 크기가 5㎝에 불과한 열대어 제브라피쉬다. 이 사진은 제브라피쉬가 심실의 아랫 부분에 크게 손상을 입은 뒤 7일 후 촬영된 모습이다. 사람과 달리 제브라피쉬는 심장의 한 ... ...
[
표지
로 읽는 과학: 네이처] “생물다양성 위해 효율적 국제 정책 마련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7.06.04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
에는 얼룩말과 그 위에 앉은 붉은부리소등쪼기새의 모습이 담겼다. 이 둘은 서로 공생관계다. 붉은부리소등쪼기새는 큰 동물의 몸에 붙은 진드기나 상처에 모여 든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네이처는 지구의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요인과 생물다양성 감소를 막기 위한 ... ...
[
표지
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제 2의 메르스 ‘라싸 바이러스’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4
제공 표면이 울퉁불퉁한 아이스크림콘 같은 모양의 주황색 물체가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
에 등장했다. 제 2의 메르스라 불리는 ‘라싸 바이러스(Lassa Vieus)’의 모습이다. 캐서린 헤스티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연구원 팀은 10년의 노력 끝에 서아프리카 지역 주민들을 괴롭히는 라싸 바이러스의 ... ...
해수부, '인공 2세대' 명태 15만 마리 방류…'바다의날' 기념
포커스뉴스
l
2017.05.30
방류하는 것이다. 해수부는 올해 초 동해에서 포획한 명태의 유전자 분석 및 부착
표지
확인을 통해 기존에 방류한 인공양식 명태가 잘 정착해 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에 방류되는 명태도 잘 적응해 명태자원 회복의 출발점이 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장우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