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출
표시
증정
기여
기증
공연
노출
스페셜
"
제시
"(으)로 총 1,84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들어가면 정보는 사건의 지평선에 남겨둔다는 가설 등이다. 아직 만족할 만한 해답은
제시
되지 않았다. 수정된 이론을 통해 호킹은 블랙홀도 양자역학의 기본원칙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받아들였다. 10년 뒤인 2014년 호킹은 이를 재차 수정했다. 블랙홀에는 물질을 빨아들이는 사건의 지평선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생성 과정에 대한 열쇠를 제공했다는 평을 받습니다. 하지만 힉스 입자를 1964년 처음
제시
한 그는 2013년에야 노벨 물리학상을 받습니다.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 CERN)가 힉스 입자를 발견한 덕분입니다. 수상 당시 그는 84세였습니다. 현존 최대 규모 입자가속기인 거대강입자가속기(LHC) 내부.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폭발, 강력한 태양 자기장 뚫을 수 있어야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11
이론물리센터 연구원은 태양 표면의 폭발 현상을 설명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
해 과학전문학술지 네이처 2월 8일자에 발표했다. 맨틀과 외핵 등 일부가 유체, 나머지는 고체로 구성된 지구와 달리 태양은 표면에서 끊임없이 태양 구성 물질이 흐른다. 워낙에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움직이기 때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말이다. 이스쿠이에르두에 따르면 이는 당연한 현상으로 책에서 이에 대한 처방을
제시
하고 있다. 너무 기대는 하지 말고 아래를 읽기 바란다. 이스쿠이에르두는 “대부분의 기억을 망각하는 이유는 조기에 인출되지 않기 때문”이라며 “반복이 기억을 지속시키는 유서 깊은 방법이라는 건 오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지난 주 신문에서 특이한 기사를 봤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 이후 우리나라는 후쿠시마 및 인근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는 특 ... 전면 수입금지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부유어에 한해 수입을 허용하는 차선책을
제시
하는 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의미를 해독하고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바쳤다... 그(코놉카)는 일주리듬 문제를 벤저에게
제시
했고(그 반대가 아니다) 일주리듬 돌연변이체를 찾는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했다. - 마이클 로스바쉬 로널드 드레버는 손재주가 좋은 물리학자로 실험을 할 때면 어린 아이처럼 좋아했다. - 라이너 바이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환자가 보고된 게 불과 10여 년 전인 이유에 대해서 저자들은 세 가지 가능성을
제시
하고 있다. 먼저 이전에도 환자가 있었지만 이를 신종 전염병으로 인식하지 못했을 수가 있다. 다음으로 생활환경의 변화로 진드기와 사람(농부)의 접촉이 잦아져 10여 년 전부터 감염된 사람이 급증했을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예측하는 값에 못 미쳐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을
제시
하면서도 비슷한 관측이 더 쌓여야 이론 모형이 완벽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 은하에서 신성 폭발은 일 년에 수십 차례 일어난다고 한다. 이 가운데 맨눈에도 보이는 6등급 이내는 대략 일 년에 하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둔 뒤 필름 표면을 분석했는데 적외선분광 패턴이 논문의 패턴과 비슷했다며 데이터로
제시
했다(필자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다). 논문에서 애벌레 효소의 작용으로 폴리에틸렌이 분해돼 나온 에틸렌글리콜 피크의 실체는 필름에 바른 애벌레 주스를 완전히 닦아내지 않아 남은 찌꺼기에서 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인간생리학 안내’에서 우리가 습도를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대한 흥미로운 가설을
제시
했다. 즉 습도에 따라 피부가 습기를 머금어 수화돼 팽창하는 정도가 다르고 아울러 피부 표면의 수분이 증발되며 온도가 내려가는 속도에도 영향을 주므로 이 둘을 합쳐 지각한 결과 우리는 습도를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