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스페셜
"
주장
"(으)로 총 1,89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감칠맛 수용체가 밝혀졌다고 해서 무조건 기본맛으로 간주할 건 아니라는 저자의
주장
에 공감이 됐다. 지방맛과 매운맛에 대한 내용도 꽤 흥미로웠지만 알고 있는 얘기도 좀 있었다. 그런데 칼슘맛은 생소한데다 이게 스무 가지 구강 감각들 가운데 네 가지에 뽑힐만한가 라는 의문이 들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연구자들이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늙지 않는다고, 즉 이론적으로는 영생할 수 있다고
주장
하는 근거는 무엇일까. 동물의 노화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곰페르츠 법칙’이 있다. 곰페르츠 법칙은 동물의 사망률이 나이에 듦에 따라 지수함수의 곡선으로 증가한다는 이론으로 19세기 영국의 수학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이는 서구인을 대상으로 한 많은 임상연구의 결론으로, 보르도 와인업자들의 일방적인
주장
은 아니다. 술 한 잔이 한 병에 해당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이 이 학설을 믿고 따라했다가는 셋 중 하나는 낭패를 볼 수도 있다. 동아시아인은 서구인을 비롯한 지구촌의 다른 사람들과 술을 대사(해독)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다만 개를 동반한 사자 사냥을 언급한 문헌이 드물지 않다고 덧붙였다. 시프먼 교수의
주장
에 따르면 호모사피엔스는 이종동물(개)과 연합해 동족인 네안데르탈인을 몰아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이번엔 개가 이종동물(사람)과 연합해 동족인 늑대를 거의 절멸시켰다. 이처럼 각자 서로를 이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21세기 들어 나타나는 이런 현상들이 호모사피엔스의 생리적인 한계를 드러낸 결과라고
주장
했다. 즉 20세기를 통해 인류는 영양, 의료, 위생을 꾸준히 개선해 호모사피엔스의 잠재력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왔지만 21세기 들어 더 이상 개선할 여지가 없게 되면서 각종 생리지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논문에서 유전부호는 모든 생물종에 대해 보편적이고 불변이라고
주장
했다. 그 뒤 그의
주장
에 반하는 예외가 몇 가지 발견되기는 했지만 대세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아니다. 유전부호(코돈과 해당 아미노산)를 나타내는 표이고 그 위의 도식적인 그림은 리보솜에서 전령RNA의 코돈에 운반RNA의 ... ...
[사이언스 지식IN] 北 신형 ICBM 화성 15형, 워싱턴까지 타격한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기존에 비해 기술적으로 진일보한 화성-15형이라 밝히며 “핵무력을 완성했다”고
주장
했습니다. 북한은 이 미사일이 고각 발사를 통해 역대 최대고도인 4475㎞까지 올라가 총 950㎞를 53분간 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에서 1만㎞ 가량 떨어진 미국 동부 워싱턴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을 ... ...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알 수 있었다. 연구팀은 여행비둘기의 많은 개체수가 빠른 멸종의 위험성을 높였다고
주장
했다. 샤피로 교수는 “여행비둘기들은 처음엔 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며 “하지만 모든 개체가 유전적으로 유사하게 되어 인간이나 환경의 위협 같은 새로운 변화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이완 속도 차이가 빛의 색이 아니라 세기 때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누군가가
주장
해도 “100% 그렇지 않다”고 반박할 수 없을 것 같다. 연구자들이 녹색빛 방과 빨간빛 방에서 비교 실험을 하지 않은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그런데 문득 파란빛의 모순을 설명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 ...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10.30
“일부 사람들은 이런 유사성이 적응의 결과로 나타난 ‘수렴 진화’ 때문이라고
주장
했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오래 전부터 피부색과 관련한 유전자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n843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