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스페셜
"
초
"(으)로 총 1,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지난해 12월, 분자생물학 분야 최고의 학술지인 셀(Cell)에 IBS RNA연구단(단장 김빛내리)의 논문이 실렸다. 세포 안에 있는 전령RNA의 분해과정에 숨겨져 있던 새로운 메커 ... 콘텐츠는 기
초
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
초
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한다. 현재 이 인공 심장을 이식받은 이들은 전 세계적으로 13,000여명에 달하며
초
기 수술자들 중 일부는 아직도 생존해서 매일같이 인공 심장 이식 생존율의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중이다. 끊임없이 박동하는 심장의 고동만큼 건강한 삶을 위한 인류의 노력도 끊임없이 고동치고 있는 중인 셈이다 ... ...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
IBS
l
2015.01.16
IT 산업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일상생활을 송두리째 바꿔놓을 만큼 번창하고 있지만, 날로 악화일로인 분야도 있다. 바로 개인용 컴퓨터 산업이다. PC뿐 아니라 노 ... 콘텐츠는 기
초
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
초
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분자 동영상(molecular motion picture)을 촬영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얼마 전 IBS 분자분광학 및 동력학연구단의 단장으로 선정된 고려대 화학과 조민행 교 ... 콘텐츠는 기
초
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
초
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초
음파 감지를 시도하기도 했다. 당시 실종 한 달 만에 남인도양 일대에서 블랙박스의
초
음파 신호를 찾았다는 보고도 있었지만 그 신호가 진짜 MH370호 것인지 아직 아무도 확인하지 못했다. MH370호가 납치, 혹은 조종사의 자살자폭 등으로 해석하는 전문가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 ...
우주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있었다. 하지만 민간 우주 비즈니스 회사 미국 오비탈사이언스의 화물 우주선이 발사 6
초
만에 폭발한 사고와 영국 버진그룹이 추진하던 민간 우주선 스페이스십2가 모하비 사막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장밋빛 전망은 흐려지고 있다. 우주에 가고 싶은 꿈만큼 여건이 준비되진 않은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이 준동하면서 게놈의 불안정성이 커진다는 말이다. L1 전이는 게놈 구조의 불안정성을
초
래할 뿐 아니라 주변 유전자 발현을 교란해 면역계 이상반응을 유발할 수도 있고 자체 단백질이 항원으로 작용하면서 자가면역질환이 생기거나 자식작용을 유발해 세포가 죽을 수도 있다. 유방암과 ... ...
나눔연수 [제12회]
동아사이언스
l
2014.12.30
다빈치홀에서 30명의
초
·중·고등 교사가 참가했다. 이번 나눔연수에는 정영찬 심곡
초
교사가 ‘3D 프린터로 미래 수업 준비’라는 주제로 강사로 나섰다. 3D 프린터의 원리를 나누고, 수업 시간에 활용하는 구체적인 노하우를 전수했다. 교사들은 3D 프린터로 명함 등을 만드는 실습을 했다. 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전자의 3477배나 되는 무거운 입자(양성자의 거의 두 배)로 매우 불안정해 수명이 2.9×10-13
초
에 불과하다. 타우를 발견한 업적으로 펄은 뉴트리노를 검출하는데 성공한 프레더릭 라이네스와 함께 199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펄 교수의 1997~2001년 박사과정학생이었던 프린스턴대의 발레리 헤일요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
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이미지출처_대영도서관 참고_과학동아 2014년 9월호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