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창문을 타고 흐르는 빗물처럼 영화에 필요한 소품과 날씨도 생생하지요. 모두 방정식 덕분이랍니다.겉보기에 아무리 살아있는 것 같아도 캐릭터가 제 스스로 몸을 움직일 수는 없습니다. 팔을 접었다 펴는 간단한 행동도 할 수 없지요. 그래서 캐릭터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방법이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속 노화와 뇌질환의 열쇠진핵세포는 미토콘드리아가 만들어내는 에너지(ATP) 덕분에 복잡한 생명체로 진화했다. 하지만 여기에도 그림자가 있다. 요즘 한창 문제가 되는 화력발전소의 미세먼지처럼,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만들 때도 요란한 불청객이 찾아온다. ‘활성산소(ROS)’라고 불리는 이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전혀 다른 방식으로 움직인다. 가운데 손가락이 마치 드릴처럼 360° 회전한다! 이런 기능 덕분에 애벌레나 끈적한 액체를 발라 손쉽게 먹을 수 있다.이처럼 만능이지만, 가운데 손가락은 굉장히 취약한 부위이기도 하다. 그리고 세상의 모든 기계장치가그렇듯, 용도가 너무 특수하면 범용성이 오히려 ... ...
- [가상인터뷰] 단단한 소라 껍데기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끊긴 소라 껍데기는 더 이상 파괴되지 않고 처음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지요.이런 구조 덕분에 소라 껍데기는 같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광물인 ‘아라고나이트’에 비해 수십 배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답니다.닥터 그랜마 : 네 단단함을 이용해 함께 지구를 정복하자!소라 : 오상호 교수팀의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변화와 연관 지어 설명하는 학자도 있다. 어쩌다 보니 비정상적으로 커졌는데, 덕분에 남는(?) 뇌로 언어를 사용할 수 있어서 그대로 남았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른바 ‘사회적 뇌(Social Brain)’ 가설이 많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즉, 인간사회가 점점 복잡해지면서 뇌도 따라서 커졌다는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변화까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정확도가 뛰어나요. 그 이유 중 하나는 터널 끝에 있는 거울 덕분이지요. 그런데 만약 거울이 땅에 직접 닿아 있으면 바람이나 지진으로 생긴 진동에 거울이 흔들리게 돼요. 그럼 거리가 계속 달라지지요. 따라서 라이고에 있는 거울은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도록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방해 만든 장갑을 끼고 벽을 기어오르는 데 성공했다. 바로 ‘게코도마뱀’을 흉내 낸 덕분이다.무거운 몸으로 수직 등반 비결은 ‘나노 털’연구팀은 몸집이 작고 가벼운 곤충과 달리, 몸이 무거운데도 벽을 잘 기어오르는 게코도마뱀을 살펴봤다. 게코도마뱀은 파리와 노린재 같은 곤충처럼 ... ...
- [과학뉴스] 반데르발스 힘, 원자 단위에서 최초 측정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분포가 순간적으로 달라지면서 생기는 인력으로, 주변 원자나 분자에 작용한다. 이 힘 덕분에 물체의 마찰력이나 응집력, 접착력 등이 생긴다. 게코도마뱀이 떨어지지 않고 벽을 타고 오르는 비결이기도 하다.연구팀은 극저온 원자현미경의 탐침에 제논 원자를 붙이고, 측정 대상이 되는 비활성기체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거들떠 보지 않는 종들이 있다. 슬로우 로리스는 이런 곤충들까지 먹이로 삼는 전략 덕분에 큰 몸집에도 불구하고 곤충을 선호하는 취향을 유지할 수 있었다.슬로우 로리스처럼 질 나쁜 먹이를 좋아하는 종이 또 있다. 남아메리카대륙에 서식하는 ‘피그미마모셋’을 비롯한 작은 원숭이들은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내는 소리를 들었다. 미 해군은 1991년 이 자료의 일부를 과학자들에게 공개했고, 덕분에 수중음향을 과학 연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물 속에서 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지구의 다양한 현상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최지웅 한양대 해양융합과학과 교수는 “예를 들어 바다에서 비가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