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플랑크톤이 잘 자라지 못하지요. 철분이 풍부한 바다에서는 플랑크톤이 잘 자라게 되고,
식물
성 플랑크톤이 흡수한 이산화탄소는 동물성 플랑크톤과 어류 등의 먹이사슬을 따라 저장 돼요. 자연스럽게 바다 생물들이 이산화탄소의 저장고가 되는 셈이랍니다.그런데 바다에는 늘 철분이 부족해요. ... ...
출동~! 뉴칼레도니아 생태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우리에게 익숙한 동물도 전혀 없다가 최근에야 섬에 들어왔지. 이렇게 동물이
식물
도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뾰족한 가시를 가질 필요가 없었다고 해.유명한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를 만나다!탐험대원들은 ‘어린이과학동아’의 과학뉴스에도 출연한 적이 있던 똑똑한 새의 대표 뉴칼레도니아 ... ...
다빈치처럼 관찰하자! 과학 일러스트 도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식물
의 색깔과 모양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섬세하게 포착해 그림으로 그렸어. 말라버린
식물
도 그대로 함께 전시해서 생로병사, 생성과 소멸과 같은 자연의 섭리와 연결지었다고 해. 둘! 다양하게 연상하기마치 수 없이 많은 꽃을 심어 둔 꽃밭 같아. 그런데 돋보기를 들고 자세히 봤더니 ... ...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하지. 더구나 비타민 C는 위장술의 천재야. 물 속에 녹아 들어가서 모습을 숨기니까!❶
식물
이나 동물의 몸에 저장된 비타민 C는 물과 결합한 형태로 몸 속으로 들어온다❷ DNA를 파괴하는 등 몸에 해로운 역할을 하는 활성산소를 찾아 수소 총알을 발사한다.❸ 수소 총알을 맞은 활성산소는 마치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녹색커튼을 만들면 정말 멋지겠다. 우리 집부터 녹색커튼을 가꾸면 어떨까? 난 정말 녹색
식물
이 온도를 낮출 수 있을지 실험을 해 보기로 했어. 도전! 녹색커튼 만들기실험 내용 창문 앞에 나팔꽃을 가꾸어 녹색커튼을 만들자!실험 재료 나팔꽃 씨앗, 화분 잠깐! 건물 옥상에 숲을?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수 있고, 더 작게 분해한단다. 우리가 이렇게 분해한 생물은 다시
식물
의 양분이 되고, 이
식물
을 동물이 먹으면서 생명이 계속되는 거야.더럽다고만 생각했던 곰팡이가 하는 일이 이렇게 많다니 정말 놀랐어! ”나는 조금 부끄러워졌단다. 곰팡이는 자신이 해야 할 일인 지구 청소부 역할을 묵묵히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소장은 완전한 비대칭을 이루며 몸 속에 꽉꽉 뭉쳐져 들어 있다.“
식물
도 동물도, 모두 살아남기 위해 비대칭적인 모습이 된 거구나!”내가 이렇게 외치자 내 말에 동의하듯 ‘찌르르~’하고 울던 모모가 갑자기 커지는 거 있지! 나는 모모의 등에 올라타고 하늘로 ... ...
비계로 바이오연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비계를 석유의 하나인 경유와 섞은 ‘동물성 바이오연료’을 만들었답니다.이전에도
식물
성 기름으로 바이오연료를 만들었지만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쉽게 변질되는 단점이 있었어요. 그런데 동물성 지방인 비계로 만든 바이오연료는 포화지방산이 많아서 쉽게 변하지 않는다고 해요. 실제로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남기는 모기! 하지만 모든 모기가 피를 빨아 먹는 건 아니에요. 사실 모기는 평소에는
식물
의 꿀과 이슬, 수액 등을 먹고 살아요. 다만 암컷 모기가 임신을 했을 때만 뱃속에 꽉 찬 알들을 키우기 위해 동물의 피를 빠는 거죠. 하지만 어미 모기에게 측은한 마음이 들어 피를 나눠 줬다가는 큰일날 수도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온난화 현상은 화석연료의 사용 때문이다. 땅속에 깊이 묻혀있던 이산화탄소가 아니라
식물
이 잠시 가지고 있던 이산화탄소만 대기로 되돌리는 것이기에 온난화현상이 줄어든다. 또 화학공장을 미생물공장이 대신한다면 유독한 부산물들을 내뿜지 않아 환경오염도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가상,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