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하지만 각종 전자장치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통신 케이블이 주고받아야 할 정보의 양이 급격히 많아졌다. 최 교수와 이 책임연구원은 ‘한물 간’ 유선전화에서 쓰이던 기술에서 착안해 캔 기술과 호환되면서도 속도 문제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터보 캔을 개발할 수 있었다. 캔이 정보를 인식하는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계산할 수 있다. 실제 값과 비교하면 10% 이상의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자동차의 모양이 변할 때 저항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풍동실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며 빠른 시간에 결과를 알 수도 있다.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자동차뿐 아니라 배나 비행기, ... ...
- 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용 가능한 물의 양이 적지요. 또 주로 여름에 비가 와서 계절별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의 양에 차이가 커요. 최근에는 매년 가뭄이 발생하고 있어서 물이 부족한 지역도 점점 많아지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닷물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각각 푸른 빛과 초록색 빛, 그리고 암흑에서 잠이 들었을 때 분비하는 멜라토닌의 양을 조사했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깊은 잠을 자는 데 분비량이 큰 영향을 미친다. 그 결과, 암흑일 때 멜라토닌이 가장 많이 분비됐고, 이어서 녹색 빛, 푸른 빛 순서였다. 암흑과 녹색 빛은 ... ...
- 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단단하고 긴 바게트, 촉촉한 속살이 맛있는 식빵, 소라처럼 돌돌 말려 있는 크루아상, 달콤한 팥이 가득한 호빵, 상큼한 올리브가 콕콕 박혀 있 ...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2화] 우주를 향해 로켓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압력이 낮은 쪽으로 나가려는 성질을 갖고 있어요. 그리고 압력의 차이가 클수록많은 양의 가스가 한꺼번에 빠져나가 로켓이 땅을 밀고 올라가는 힘도 커지지요. 일반적으로 로켓 안에서 태워진 연료의 압력은 약 200기압, 온도는 최대 3700℃ 정도나 된답니다.식초와 베이킹 소다로 스미스소니언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더 많기 때문에 연소 후 컵 안의 기체 양은 반응 전보다 줄어든다.같은 부피에서 기체의 양이 줄어들면 기체가 주위를 밀어내는 힘인 압력이 낮아진다. 그 결과 컵 안의 압력은 컵 밖의 압력인 대기압보다 작아지고, 이 차이만큼 컵 밖에서 안쪽으로 물이 밀려 올라간다.실험 방법 둘. 착시를 이용하라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따른 확률을 구할 수 있다. 실제 군에서 이용하는 전투 모형은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가 복합적으로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투태세 수학으로 완전무장!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자궁 세포를 배양해 만든 인공 자궁 내막은 성호르몬에 반응하고, 임신 초기에 배아에 영양을 공급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자궁 유상액을 분비했다.월경 주기에 따라 자궁내막이 점점 두꺼워지면서 임신을 준비하고, 임신이 되지 않은 경우 생리 때와 같이 조직이 무너져 내리기도 했다. 연구팀은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2017.5)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5N037‘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2008.3)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0803N03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