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실려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저자는 없지요.”김계성 교수의 지적대로 최근 미국과 일본
연구자
들을 중심으로 줄기세포 연구의 굵직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미 국립보건원(NIH)과 국내 줄기세포 동향 조사 연구진이 선정한 2007년 상반기 줄기세포 관련 주요 논문의 제목만 봐도 최근 줄기세포 ... ...
PART3 줄기세포, 그 분화의 비밀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아직까지 사람을 대상으로 세포치료를 시행했다는 소식은 없다. 그러나 최근 많은
연구자
들이 줄기세포가 특정 세포로 분화하도록 ‘설득’하는데 연이어 성공하고 있으며, 이렇게 얻은 세포를 최초로 세포치료에 적용하기 위한 국내외 과학자들 사이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발달생물학에 길을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배지에서도 살아남는다. 반면 유전자가 재조합되지 않은 세포는 죽는다. 이렇게
연구자
는 원하는 유전자를 가진 세포를 얻을 수 있다.이렇게 얻은 세포를 털 색깔이 다른 쥐의 배반포 단계 수정란에 미세피펫으로 넣는다. 그리고 수정란을 대리모 쥐의 자궁에 이식한다. 그 결과 키메라 쥐(발생 ... ...
초음속기 상승 비밀 발견돼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돌파할 때 생기는 충격파가 날개 표면에서 반사되는 정도가 바뀌기 때문에 일어난다.
연구자
들은 “표면이 거칠면 양력은 커지지만 마찰력도 커져 속도가 느려진다”며 두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함을 강조했다 ... ...
일본 '가구야 공주' 달로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중계위성이고, 다른 하나는 달의 중력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VRAD위성이다.특히
연구자
들은 가구야의 관측자료로 달의 기원 문제를 풀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현재 달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장 유력한 이론은 45억년 전 원시지구에 더 작은 천체가 충돌했는데 이 과정에서 뿜어져 나온 가벼운 잔해가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한·미 연구팀은 흰쌀이 붉은색을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자
들은 우리가 현재 재배하고 있는 흰쌀인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의 조상종인 야생 벼 오리자 루피포건(Oryza rufipogon L.)의 종피, 즉 쌀알의 껍질이 붉은색이라는 데서 연구의 실마리를 찾았다.재배종은 ... ...
게놈 속에 게놈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뤄져 있는데, 열대성 초파리의 게놈에 이들 게놈이 거의 온전히 들어있었다.
연구자
들은 과거에 불바키아 게놈이 초파리 게놈으로 끼어들어가 자리잡은 것으로 추측했다.흥미롭게도 이 부분에 있는 박테리아 유전자 1206개 가운데 적어도 28개가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토프 박사는“이런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특히 항우연과 인공위성연구센터가 중심이 돼 3호 개발에 참여하는 기관과 대학의
연구자
들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 하는 시도다.최근 국내에서 위성 개발의 저변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예를들어 대학에서 초소형위성을 개발해온 대표적 연구실로, 2002년 과기부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그는 “다른 과학자들도 이번 시추의 중요성을 알기 때문에 가장 핵심이 되는 이 분야에
연구자
가 몰렸을 것”으로 추측했다.지큐호에는 IODP 회원국의 과학자만 승선할 수 있다. IODP는 해양 시추를 위해 20여개 나라가 모인 단체다. 매년 1000억원을 투자하는 미국과 일본을 두 축으로, 유럽연합은 20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교수는 거의 혼자서 논문을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런 그가 “이휘소만큼 절친한 동료
연구자
는 없었다”며 물리에 대한 그의 직관을 매우 높이 평가했다.와인버그 교수는 네덜란드의 트후프트가 1971년 표준모형의 내적정합성을 증명했을 때 자신은 그 의미와 중요성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하지만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