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두의 N-S 방정식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찾아내거나 편미분 방정식 이론 자체에서 새로운 기술이 발전해야 풀릴 수 있을 거
예
요. 하지만 사람들이 점점 똑똑해지고 우수한 사람이 많으니 언젠가는 해결될 거라 생각해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푼 앤드루 와일스는 어렸을 때 도서관에서 문제를 보고 ‘언젠가 이 문제를 풀어야지’라고 ... ...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여러 상황에 응용하는 건 생제가 풀리는 걸 보면 꼭 마술처럼 느껴질 정도니까요.
예
를 들어 볼까요? 어두컴컴한 방에 서로 다른 양말 4켤레가 섞여 있다. 짝이 맞는 양말 1켤레를 찾으려면 최소 몇 개를 집어야할까? 서로 다른 양말이 4켤레니 총 8개가 섞여 있겠죠? 운이 좋으면 2개만 집어도 짝이 ... ...
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방해가 될 수 있어요. 얼굴만 한 크기의 로봇이 머리 위를 계속 날아다니면 부담스러울 거
예
요. 그래서 아스트로비는 사람과 가까워지면 스스로 고도를 낮춰 비행한답니다. 자연스럽게 ISS 대원의 시야에 들어와 불편함을 줄이는 거지요 ... ...
[JOB터뷰]지구를 지키는 재활용 밴드, 지지밴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팔 각도를 좀 달리해야 하지요. 무엇보다 아쉬운 점은 건반이 재활용 악기가 아니라는 거
예
요. 실로폰으로 대체해 보려 했지만, 손가락으로 최대 열 개의 음을 누를 수 있는 건반과 달리 실로폰은 양손에 든 채로 고작 두 개의 음을 내는 게 최대라 연주에 한계가 있었지요. 건반을 어떻게 재활용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3개의 문제를 제시하면서 이 문제들이 인류 문명을 발전시킬 거라고 했는데 그 말이 마치
예
언처럼 들어맞았습니다. 힐베르트의 문제를 공학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없앤 연구팀의 노력에도 박수를 보냅니다! 과연 다음엔 어떤 문제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까요 ... ...
노약자를 위한 로봇에 힘을 싣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생겼네요?●김근욱 연구원(이하 김) : 미는 사람을 위해 개발한 ‘에어카트 휠체어’
예
요. 저와 이호태 연구원 등 5명의 네이버랩스 인턴들이 6개월간 제작해 이번 HRI 국제컨퍼런스에 처음 공개하는 거죠. 이 휠체어는 옆에서도 밀 수 있어서 미는 사람과 타는 사람이 서로 대화를 할 수 있는 게 ... ...
왜 거짓말은 진실보다 빨리 퍼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약 70% 이상 높게 나타났어요. 가짜 뉴스가 진짜 뉴스보다 훨씬 멀리, 빠르게 퍼진 거
예
요. 그렇다면 왜 가짜 뉴스가 더 빨리 퍼졌을까요? 연구를 이끈 데브 로이 교수는 “가짜 뉴스가 새롭고 자극적인 정보를 더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어요. 사람들이 새롭고 선정적인 이야기를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뜻하는 라틴어 ‘Vacca’에서 왔어요. 18세기 영국의 의학자 에드워드 제너가 천연두를
예
방하는 백신을 구하기 위해 소를 이용했거든요. ‘천연두’는 천연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사망률이 높은 질병이에요. 제너는 우두(소천연두)에 걸린 소에게서 바이러스를 얻어 인간에게 접종하는 ...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덕분에 암흑물질은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력 효과로 추론만 가능하다. 한
예
로 암흑물질이라는 멋진 이름을 생각해낸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츠비키는 1933년 코마 은하단에 속한 은하들의 평균 공전 속도를 관측한 결과, 은하단에서 관측되는 별과 성간가스의 모든 질량을 다 합해도 ... ...
후보4. 게임 이론의 숨은 공신 사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나서 다칠 수 있죠. 그러면 과일을 먹는 것보다 못하게 됩니다. 두 사자가 이런 결과를
예
상했다면, 선뜻 고기를 고르지 않고 다른 행동을 할 겁니다. 사자의 딜레마로 보는 후진 귀납법여러 게임 중 가위바위보처럼 참가자가 동시에 행동하지 않고 바둑이나 체스처럼 1명씩 순서대로 행동하는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