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명
입증
확증
근거
보증
증언
뒷받침
d라이브러리
"
증거
"(으)로 총 2,262건 검색되었습니다.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또 왼쪽 이마가 오른쪽에 비해 앞으로 돌출한 사례가 많다는 점이 드러났다. 좀더 정확한
증거
를 찾아야겠지만, 뇌가 전체적으로 커졌으며 특히 지성을 지배하는 좌뇌가 많이 발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눈과 눈 사이는 좁아지고 있다. 한국인의 눈동자 간 거리는 평균 62-65mm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예상됐다. 테사 조웰 보건장관은 “이 기술의 혜택과 위험을 입증하기 위해 더 많은
증거
가 필요하다”며 반대 이유를 밝혔다.하지만 이번 합의 내용은 현실적으로 한가지 딜레마를 낳았다. 시민들은 ‘복제’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했고, 인간개체복제는 물론 인간배아복제 역시 엄격히 ... ...
에이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침팬지의 에이즈바이러스(SIVcpz)와 HIV는 VPU라는 공동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것이
증거
라는 것.에이즈바이러스를 퇴치하는 방법 역시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아지도티미딘(AZT)과 같은 치료약이 있긴 하지만 에이즈바이러스의 증식을 잠시 억제할 뿐이다. 결국 최선의 치료책은 예방이라는 얘기다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켜면 태아가 꿈틀거리는 모습이 관찰된다. 뱃속의 태아가 외부의 빛에 반응한다는
증거
다. 빛의 자극은 태아의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고, 뇌에서는 이 반응에 대해 깜짝 놀라는 ‘놀람 반사’가 발생한다. 마치 잠을 자는 성인의 눈에 전등을 비출 때 눈을 깜박거리거나 뒤척이게 되는 반응과 ... ...
블랙홀 충돌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3차원 시뮬레이션이 한몫했다. 아쉽게도 슈퍼컴퓨터의 용량한계로 중력파 산의 완벅한
증거
와 같은 중요한 세부조건들을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했다.그러나 이번 연구는 블랙홀을 볼 수 있는 새로운 눈인 중력파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 커 빛도 빠져나올수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검증되지 않았다.현재 한국의 동해는 계속 넓어지고 있을까. 그렇지 않다. 지질학적
증거
에 따르면 동해가 벌어지는 일이 끝난 것은 대략 1천5백만년 전이었고, 약 5백만년 전부터는 오히려 조금씩 좁혀지고 있다. 2천3백년 전 이후 8백만년 동안 동해가 넓어지다가 1천만년 동안 움직임이 멈췄다는 ... ...
27억년 전에 원시세포 존재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 유기물은 생물체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핵막이 있는 진핵생물이 존재했다는 강력한
증거
였다. 진핵생물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비교적 최근에 생긴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이번 발견으로 지구가 만들어지고 나서 식기 시작할 무렵 진핵생물이 출현했음이 드러났다.몇 년 전에도 비슷한 ... ...
우주도 약육강식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목성 같은 큰 행성도 별에 먹힐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별이 다른 천체를 흡수했다는
증거
는 밝은 섬광이나 빠른 회전, 그리고 행성에서 공급된 리튬이 항성 안에서 파괴되는 스펙트럼 흔적으로 나타난다. 늙은 별은 가까운 행성들을 빨아들여 적색거성이 된다. 만약 흡수되는 행성들이 목성과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다고 말했다. 최근의 국지성 집중호우가 한반도 기후특성의 변화를 보여주는 좋은
증거
라는 것이다.일시적인 변화일 수도기상청 박정규 예보과장도 일단 한반도의 전체적인 기후특성이 변하고 있다는 점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에 따르면 근래의 집중호우는 우선 양적으로 과거의 기록에서 보기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새로운 행성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가스나 먼지로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증거
로 생각됐다.포말하우트가 남중할 때 남쪽 지평선을 스치듯이 떠 있는 2개의 2등성과 몇개의 별들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두루미자리이다. 별자리 모양이 커다란 날개를 펴고 솟아오르는 목이 긴 두루미를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