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읽으면천재 | 액시온 우주를 하나의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의 오감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에너지는 얼마나 될까?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우주에 존재하는 별과 행성, 가스 등 보통물질은 전체의 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로 채워져 있다고 본다. 하지만 ... ...
- [Go!Go!고고학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우리는 보통 바이킹을 뿔 달린 모자를 쓴 약탈자라 생각해요. 물론 바이킹은 강인한 전사였지만, 동시에 탁월한 항해가이자 모험가, 상인이기도 했어요. 982년, 유럽 사람 중 최초로 그린란드를 발견하고 정착지를 건설한 사람도 바이킹이었죠. 하지만 15세기 초가 되면 바이킹은 몇백 년이나 살았던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시간이 없어서 다 읽기 어렵다면? 내용과 난이도를 보고 읽고 싶은 기사를 먼저 골라보세요. 미세먼지 감시하러 떠나는 ‘천리안 2B호’ ☞ 바로가기 (32p) 적도 상공 약 3만6000km, 까마득히 먼 우주 공간에서 하루에 한 바퀴씩 지구의 자전 속도와 똑같이 움직이며 지구를 내려다보는 인공위성 ... ...
- [천리안 2B호] 총괄 최재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천리안 2B호 “1년 전 천리안 2A호를 발사할 때와 동일한 과정을 밟을 테지만 한시도 긴장을 늦출 수는 없습니다. 카운트다운하는 날은 정해져 있는데, 그때까지 어떤 변수가 생길지 모르거든요.”2019년이 저물어가던 12월 23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만난 최재동 위성연 ... ...
- 과학 인포그래픽 만들기, 태양계 행성과 운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안어려워요 | 스쿨 리포트 A+②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교과과정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의 ‘태양계’ 단원과 고등학교 지구과학Ⅱ ‘행성의 운동’ 단원에서 태양계의 특징을 자세하게 다룹니다. 사실 태양계에 관한 내용은 초등학교 5학년 과학의 ...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태양전지판은 한쪽에만, 휠 5개 달아 자세 제어“천리안 2A호의 기상탑재체와 천리안 2B호의 환경탑재체, 해양탑재체를 하나의 위성에 실을 수는 없습니까?”최 단장이 천리안 2A호와 천리안 2B호를 처음 기획했을 당시 가장 많이 들은 질문 중 하나다. 천리안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술술읽혀요 | 새 책 ● 과학자에게 이의를 제기합니다 도다야마 가즈히사 지음 | 전화윤 옮김플루토 | 284쪽 | 1만6500원 2세기 경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지구를 중심으로 달, 수성, 금성, 태양 등 태양계가 회전하고, 바깥으로는 항 ... ...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난해 9월 16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체류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 비행사 닉 헤이그가 ISS에서 찍은 사진 한 장을 트위터에 공개했어요. 사진에는 사람의 홍채처럼 보이는 동그란 지형이 담겨 있었지요. 이는 지름이 50km에 달해 우주에서만 볼 수 있는 ‘리차트 구조’로 사하라 사막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SF의 역할 중 하나는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한 것들을 상상으로 보여주고, 이런 상상이 미래 기술에 대한 영감을 불러일으킨다는 데 있다. SF에 등장하는 로봇도 마찬가지다. 20년 뒤인 2040년의 로봇은 어떤 모습일까. 현재의 로봇 기술을 끊임없이 업그레이드하는 로봇공학자, 상상력을 극대화하는 SF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