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용해 염증이나 암을 치료할 새로운 치료제의 후보물질을 만들 수 있다. 보이틀러가 처음 정제한 종양괴사 인자(TNF)-α를 억제하면 각종 염증을 막는 데 효과적이다. 실제로 TNF-α 억제제인 에타너셉트(Etanercept)는 류머티스 관절염과 건선성 관절염, 만성 장염을 일으키는 크론병에 널리 쓰이는 ... ...
- [수학뉴스] ‘7차원 초구’ 미스터리 풀렸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게 증명됐는데, 케린 교수가 모든 7차원 초구의 곡률이 음수라는 걸 밝힌 거죠. 1960년대에 처음 제기된 뒤 약 60년 동안 풀지 못한 문제를 해결한 겁니다. 케린 교수는 “10년 동안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던 아이디어로 문제를 풀었다”며, “이번 연구에서 더 재미있는 수학 문제가 파생돼 나오길 ... ...
- [기획] Player. 수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매스마인크래프트는 한붓그리기 문제가 그려진 지도를 들고 모든 길을 한 번만 밟으며 처음 지점으로 돌아와야 성공할 수 있어. 레이싱 게임과 한붓그리기가 합쳐진 형태의 게임으로, 주어진 시간 안에 미션을 성공해야 하니 수학적 감각이 저절로 키워지겠지 ... ...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직접 시도해보면 결코 쉽지 않은 퍼즐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가드너에 따르면 처음 9개의 정사각형 중 아무거나 하나를 잘라내도 남은 종이로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 모든 면을 채색면으로 만들려면 정사각형이 최소 8개 필요하므로 남은 종이는 둘로 나뉘지 않도록 적당히 잘라야 하죠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는 2002년 11월 16일 중국 광둥성 포산시에서 처음 발생한 감염병이다. 사스는 불과 몇 개월 만에 아시아를 거쳐 북미, 남미, 유럽까지 습격하며 공식적인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선언되지는 않았지만 대유행을 일으켰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사스가 대유행한 200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나이지리아까지 퍼지며 수많은 사망자를 낳았다. 에볼라바이러스가 유행한 건 이때가 처음은 아니었다. 에볼라바이러스 증상은 1976년 중앙아프리카 자이르(Zaires·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최초로 보고됐다. 에볼라 강 유역을 여행한 뒤 미열 증상을 보인 44세 남성 환자였다. 말라리아에 걸렸다고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호흡기 바이러스로 분류되는데, 처음에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들러붙고 점막세포를 먼저 감염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경우 숙주세포의 CD4 수용체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CD4 수용체는 T림프구 표면에서만 발견되는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박테리오파지는 1915년 영국 브라운동물연구소의 미생물학자인 프레더릭 트워트가 처음 발견했다. 그는 박테리아의 일종인 포도상구균을 배양할 때 군집 일부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현상을 발견하고 포도상구균을 죽이는 미지의 성분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이후 그 미지의 성분이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원에 대해 면역반응을 빠르고 강력하게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항원에 처음 노출됐을 때 일어나는 반응을 1차 면역반응, 동일한 항원에 다시 노출됐을 때 일어나는 반응을 2차 면역반응이라고 부른다. 백신은 우리 몸이 후천 면역반응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항원을 인위적으로 주입하는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큰 비가 내려 깊이 1m 이상의 늪이 생기면 번식에 나서거든요. 마호니스 토들렛은 2017년 처음 발견된 종으로, 이를 연구하던 그랜트 연구원이 한국에 왔을 때 만난 인연으로 저는 한 달간 탐사를 도와 연구에 참여했습니다.연구 주제는 마호니스 토들렛의 생태와 분포였습니다. 발견된 지 3년이 채 안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