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브라주카는 공인구 중에서 가장 적은 조각으로 만든 공이며, 구 테셀레이션으로 이뤄진 최초의 축구공이다. 독자기자들은 브라주카를 직접 만들어 보며 구 테셀레이션에 대해 배웠다. 선수 대기실부터 그라운드까지, 축구전용경기장 탐방강연이 끝나고, 독자기자들은 축구전용경기장 탐방에 ...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때문에 줄줄이 표절이 된다. 디박은 이보다 훨씬 정교한 정렬형 알고리듬을 국내 최초로 사용했다.Q 디박은 어떻게 표절을 찾아내나A 정렬형 알고리듬은 단어는 물론, 구조까지 비교해서 표절을 판단한다. 예컨대 ‘아버지가 나가셨다’와 ‘아버지가 방을 나가셨다’라는 두 문장을 비교할 때,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Team KAIST)’가 개발한 ‘휴보(HUBO)’가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첫 모델이 개발된 한국 최초의 인간형 로봇 휴보가 11년간의 성능 향상을 거쳐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으로 거듭난 것이다.휴보는 6일 최종 결선 경기에서 8단계 수행임무(8점 만점)를 44분 28초 만에 완수해 1위를 거머쥐었다. 2위와 3위 ... ...
-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7호
- 1호기의 영구 정지를 한국수력원자력에 권고했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로로, 2007년 설계 수명 30년을 마친 뒤에도 재심사를 거쳐 연장 운영 중이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권고에 따라 고리 1호기의 가동 시한이 만료되는 2017년 6월까지만 운전을 계속하고 이후 원전을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어디로 갔을까? 우리의 마지막 목적지에서 이때 만들어진 산소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최초의 산소는 아직 땅 속에 잠자고 있다우리는 카리지니 국립공원으로 향했다. 이곳에서는 25억 년 전에 쌓인 호상철광층(Banded Iron Formation, BIF)을 바로 코 앞에서 볼 수 있다. 호상철광층은 생물이 만든 산소와 ... ...
- 마법사라 불린 사나이의 민낯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점차 추락했다. 그가 제시한, 시대를 앞선 무선 전력 송신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잃었다. 최초로 대서양을 가로질러 무선송신을 하는 영광도 굴리엘모 마르코니에게 뺏겼다. 작가가 “1904년에 테슬라의 전성기는 완전히 끝났다”고 선언할 정도다. 그가 죽음을 맞을 때까지 30년 동안 한 일은 기약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되고 싶다면 우주로 떠나라~!”우주여행 하면 슈퍼 채소 된다?2006년 9월, 중국에서 세계 최초로 우주 육종 연구만을 위한 인공위성인 스젠 8호가 발사됐어요. 우주 육종이란, 종자나 식물을 우주로 보내 돌연변이 품종을 만드는 것을 말해요.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커다란 채소를 만들거나, 다양한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망원경인 ‘허블우주망원경’이 우주로 발사된 지 25주년이 되는 해라고 하더군. 세계 최초로 지구 밖의 천체를 본 나,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이런 자리에 빠질 수 없지~. 400년의 시간을 넘어 부랴부랴 달려 왔는데…. 헉! 저건 뭐지? 너무나 커다란 건물에서 너무나 커다란 구멍이 하늘을 향해 입을 쩍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초창기 HMD는 시야각이 형편없었다. 1968 년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이반 서덜랜 드가 개발한 최초의 HMD는 좌 우로 40°밖에 볼 수 없었다. 밤 에 불을 끄고 TV를 보는 그 림을 상상하면 된다. 이런 좁은 시야각을 획기적으로 넓힌 사람은 미국의 광학자 에릭 호렛이다. 호렛은 1979년 볼록렌즈를 여러 층으로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연구자들이다. 로돌프 바랭고 박사 와 필리피 호바스 박사는 세균에서 '적응면역'을 최초 로 발견해 2007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요구르트 발효에 사용되는 대량의 유산균을 배양 할 때 세균 감염을 막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특히 유 산균을 죽이는 박테리오파지가 나타나면 애써 키운 유산균이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