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유성체가 느려지면 운석 조각들은 바람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 3월 9일 밤 9시에 포항에서 측정된 연직기상자료를 보면, 고도 5~15km 구간에서는 거의 초속 46m에 달하는 강한 서풍이 불고 있었다. 추락하는 운석 조각 중 무거운 것들은 유성 진행방향인 남쪽으로 더 멀리 날아가 떨어지고, 가벼운 ...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가닥이 실타래 풀리듯이 구멍을 지나가요. 구멍이 충분히 작으면 전기전도성의 차이를 측정해서 어떤 분자가 지나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DNA 염기서열을 구할 수 있어요. 한 사람의 염기서열을 100만 원으로 하루에 분석하는 게 세계적인 목표랍니다.▶ 인재상과 진로밥 먹다가 ‘왜 ... ...
- 연구팀에게 보내는 헌사-그들의 강철심장은 빅뱅보다 위대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관측장비를 설계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r이라는 변수로 표현되는데 난 r을 0.0001까지 측정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마침내 2002년경부터, 우주배경복사의 중력파를 검출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됐다. 내가 2005년 시카고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을 때, 클렘 파이크 박사가 ... ...
- 북한 핵실험, 이제는 바다에서도 정밀 측정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직접 탐지하는 게 아니라, 지진파가 물에 전달시킨 파장을 수중 음파탐지기를 이용해 측정한다.한편 이 프로젝트는 기존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 에이도스는 기존 해저 지진관측기 비용의 3분의 2 수준, 머메이드는 4분의 1 수준으로 알려졌다 ... ...
- “최고 과학자들과 협력하는 것이 돈 버는 비결”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받은 뒤 24살이라는 어린 나이로 하버드대 수학과 교수가 됐다. 1974년 독특한 기하학적 측정법을 고안해 미분기하학자인 천성선(陳省身)과 함께 ‘천-사이먼스 이론’을 만들어 유명해졌다. 2년 뒤인 1976년에는 미국수학협회가 주는 오즈월드 베블런상을 수상했다.그러나 그에게 수학 교수직은 ...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대기환경과학과 교수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과 인천 대기의 황산화물 농도를 측정해 미세먼지가 중국으로부터 넘어왔다는 증거를 찾아냈다.석탄을 태웠을 때 발생하는 이산화황(SO2)은 공기 중에서 산소와 결합해 황산이온(SO42-)으로 변한다. 그런데 김 교수가 황산이온/이산화황 비율을 조사한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하자. 양자역학을 이용해 밝혀낸 회절이론에 따르면, 회절무늬로 나타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면 전자밀도 함수 f(x)를 푸리에 변환한 함수 g(k)의 크기를 알 수 있다. 푸리에 변환은 프랑스의 수학자 푸리에가 발견한 것으로 신호 해석, 화상 처리 등의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원래 ...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초전도현상을 이용하는 극정밀 탐지기 512개를 동원해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탐지기가 작동하는 온도가 0.25K일정도로 예민하기 때문에 이들이 남극까지 간 것이다. 남극은 온도와 습도가 낮고 대기가 가장 안정적이라서 주변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버드 ...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줄무늬가 사라진다. 즉, 파인만의 설명은 틀렸다는 거다. 이 실험은 불확정성원리로 측정문제를 설명하는 방법이 잘못됐다는 것을 보여준다(그렇다고 불확정성원리 자체가 틀렸다는 것은 아니다). 2012년 1월 우리나라 주요 일간지에 “불확정성원리의 결함 발견”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통해 질병 정보를 파악한다. 반면 MREIT는 인체에 전류를 흘려 줄 때 생기는 자기장을 측정해서 세포의 전기 전도율 변화를 확인하는 장치다. 정상 세포와 암세포의 전기 전도율 차이를 알고 있기 때문에, 결과를 바탕으로 질병 유무와 그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공동 연구팀은 현재 MREIT의 상용화를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