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윤택
충만
다량
다수
풍요
부유
거액
d라이브러리
"
풍부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될 수 있었던 원인으로 도자기의 원료가 되는 양질의 도토와 땔감으로 쓰일 나무가
풍부
하고 기후가 따뜻해 겨울에도 작업이 가능하며 완성된 도자기를 수로로 개경까지 실어나르도록 해상교통이 편리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강진에 청자 가마터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다는 사실은 1914년 한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群)을 최대한 형성하도록 노력했다. 그래도 모자라는 것은 물리 화학 등의 기초지식이
풍부
한 과학자들 중에서 그 적성이 인정된 사람을 선발해 이들에게 기계 금속 전자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세부과제를 담당시켰다. 이 전략은 당시 적절하게 맞아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어디까지나 ... ...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실험장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남극은 대륙 그 자체 뿐 아니라 주변해역 및 대륙붕에
풍부
한 생물과 광물자원이 부존돼 있다. 특히 새우의 일종인 크릴(krill)로 대표되는 수산자원은 미래의 식량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그 생산량은 연간 1억t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소련과 ... ...
고혈압의 주범은 소금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들어있을 뿐이다. 양배추같이 짙은 녹색잎을 가진 채소나 정어리 땅콩류도 칼슘이
풍부
하다.칼슘영향론자인 맥카론박사(포틀랜드 대학)는 자신의 고혈압환자들을 모두 면담하여 식성을 조사했다. 그는 "누가 칼슘부족인지는 아주 쉽게 알 수 있다. 그런 사람들은 하나같이 '물론 우유는 충분히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 작업에서 일찌감치 손을 떼야 한다는 얘기다."사고해석을 하는 사람의 최대자질은
풍부
한 상상력(통찰력)이다." 이 말은 교통사고 조사분석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교통연구소 베이커박사(J.Stannard Baker)의 지론이다.최근에는 교통사고 해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컴퓨터,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않으면 소용이 없게 된다. 이것은 아주 중요한 말이다. 설계는 설계전문가가 따로 있고
풍부
한 현장 개발 경험이 없으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우리나라 경우 컴퓨터 관련 학자가 교수 등 상당수 있고 전문가라고 하는 인력도 그런대로 있으나 이들이 설계 활동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 것도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발명이 가져다 준 이기없이는 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 우선 우리가
풍부
하게 입고, 먹고,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것도 고급 화학섬유의 옷감과 곡식을 많이 수확할 수 있게 한 인조비료, 뛰어난 촉감의 건축자재를 발명했기 때문이다.그뿐만이 아니다. 안방에 앉아 텔레비전을 통해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고고히 빛나고 있다.그리고 이달에 빠뜨려서는 안될 볼거리가 있다. 바로 연중 가장
풍부
한 유성우 중의 하나인 사분의자리 유성우(용자리 유성군으로도 불린다. 사분의자리는 1795년 프랑스의 라랑드가 북두칠성 뒷부분에 사분의자리를 만든데서 비롯된 말이다. 그러나 이 별자리는 통용되지 않고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태평양 열대기단을 장백산맥이 막아주는 덕택이다. 이러한 기후조건은 자연환경을
풍부
하게 해주기에 충분하다. 그래서인지, 나는 언제부터인가 중국 동북지방이라면 울창한 심림에 아직 중국 동북지방 호랑이가 살고 있는 그런 원시의 땅만 연상했다.그러나, 순진한 나의 생각은 현실과 너무나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신세계!(Brave New World!) 예리한 필치와
풍부
한 상상력으로 20세기초 영미문단을 살찌운 작가 올더스 헉슬리(A. Huxley). 그는 고도로 발달한 물질문명이 인간성 자체를 부정하는 미래사회를 그린 자신의 소설에 이 역설적인 제목을 붙였다. 이른바 디스토피아(distopia) 소설의 전형으로 일컬어지는 이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