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
범죄
추행
부정 행위
악행
날기
미친 짓
뉴스
"
비행
"(으)로 총 2,152건 검색되었습니다.
경북 칠곡서 F-15K 전투기 추락…조종사 2명 비상탈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공중비상대기 항공차단(X-INT)'훈련에서 최신예 전투기 F-15K가 이륙하고 있는 모습 - 사진 뉴시스 (공군 공중전투사령부 제공) 경북 칠곡 인근에서 전투기 F- ... 006년 6월7일 이후 약 12년 만이다. 당시 대구 기지에서 이륙한 F-15K는 야간 훈련
비행
도중 동해에 추락해 조종사 2명이 사망했다 ... ...
“연구실 밖 잠재고객 100명 인터뷰로 창업 성공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이착륙을 할 수 있고 최대 시속 100㎞를 자랑하는 길이와 폭 1m, 무게 10㎏의 장거리 고속
비행
무인기(드론) ‘에어파인더’(가칭)로 연구소기업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그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해 과기정통부 ‘한국형 아이코어(I-Corps) 사업’의 실험실 창업팀으로 선발돼 미국에서 연수를 받았다. ... ...
"제2 우주인 배출 때 저의 경험이 도움 될 것" 우주인 이소연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4.04
“인터뷰 전문을 보면 비판적인 맥락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우주인 이소연 박사는
비행
10주년을 맞아 국내 청중을 만날 다양한 자리도 마련했다. -사진 제공 윤신영 2014년 항우연 퇴사, 미국 유학 및 거주에 대한 일각의 비판에는 여러 차례 서운한 마음을 나타냈다. 그는 “강연을 하러 전국을 ... ...
UFO의 정체
팝뉴스
l
2018.03.31
상관없다는 듯 대낮에
비행
을 하고 있다. 그런데 오른쪽 사진을 보면 UFO 즉 미확인
비행
물체의 정체를 알게 된다. 우산이다. 우산대와 분리된 우산 위쪽 부분이다. 바람에 날려 하늘로 날아가 버린 것이다. 결국 사진은 미스터리 사진이 아니라, 우산을 잃게 된 한 남자의 슬픈 사진인 셈이다. ... ...
[사이언스 팩트체크] 러시아 개발 주장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곡면이 시야를 차단하기 때문에 지금의 지상·해상 기반 감시시스템으로는 극초음속
비행
체에 대한 빠른 대항이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 미사일방어국(MDA)은 24일 “극초음속 무기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우주 기반 센서 감시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원안위, 원전 주변 주민 건강영향 역학조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정부가 방사선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재개키로 했다. 우선 2020년부터 5년 단위로 원전 주변 주민 11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에 착수한다. 방사선 노 ... 1회당 머리 부위가 약 2mSv, 가슴 부위가 약 7mSv에 이른다. 유럽이나 북미까지의 편도
비행
(약 10시간) 시 받는 우주방사선량은 약 0.05~0.09mSv다 ... ...
불시착한 외계
비행
선 발견?
팝뉴스
l
2018.03.18
발견되었다. 길이가 최소 100미터가 된다는 추정이 나온다. 도대체 정체가 뭘까? 외계
비행
선일까? 해외 네티즌들은 갑론을박이다. 100미터가 넘는 막대형 UFO인가. 눈길이 갈 수밖에 없는 사진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산불 잡는 폭탄...드론이 쏜 ‘소화탄’에 반경 8m 불 꺼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드론에 무게 20kg의 소화탄이 실려 있다.-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제공 상공 50m를
비행
하는 드론에서 산불 발생 지점으로 물체가 떨어진다. 그러자 펑 소리와 함께 연기와 거품이 불 위를 뒤덮는다. 반경 8m 안에서 활활 타오르던 불이 순식간에 꺼졌다. 드론이 떨어뜨린 물체는 화약탄 ... ...
의학 난제 해결할 '동물 어벤저스'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복구하는 수리 시스템이 잘 발달돼 있기 때문이다. 박쥐는 포유류 중 유일하게 능동
비행
이 가능한 날개를 발달시켰는데, 그 발달 과정을 유전적으로 연구하면 사지에 유전적 장애를 지닌 환자를 치료할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진 유전자 외에 그 주변 영역을 연구했다. 이 ... ...
스페이스X는 왜 로켓을 재활용할까?
과학동아
l
2018.03.07
노래는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남긴 1969년에 발표됐으며, 가상의 우주
비행
사인 톰 소령이 우주선을 타고 우주로 향하는 내용이 담겼다(노래 속 톰 소령은 지상관제소와 교신이 끊기며 불행한 결말을 맞는다). 로드스터의 대시보드에는 더글러스 애덤스의 책 ‘은하수를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