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뉴스
"
차이
"(으)로 총 5,063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어질까
과학동아
l
2021.09.04
주요 탄소 배출지역 단위로 추정하고 있는데, 서울 안에서도 지역구마다 탄소 순배출량
차이
가 크다”며 “어느 지역에서 어떤 요인을 조정해야 효과적으로 탄소 순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지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위성과 이산화탄소 측정기를 이용한 관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수종 ... ...
꼬리가 다섯 번째 발 역할 수직 표면 착륙 가능한 도마뱀붙이
연합뉴스
l
2021.09.03
꼬리의 역할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납작꼬리 도마뱀붙이를 모델로 꼬리 유무에
차이
를 둔 두 종의 소프트 로봇을 제작해 실험을 진행했다. 납작꼬리 도마뱀과 비슷한 활공 속도를 내기 위해 새총으로 로봇을 찍찍이(벨크로)가 부착된 수직 평면을 향해 발사했다. [Ardian Jusufi lab 제공/ ... ...
100년 전 발견된 식물 알고 보니 곤충 킬러
과학동아
l
2021.09.03
분석됐다. 여타 식충 식물이 곤충에서 얻는 영양소의 비율과 유사한 수준이다. 다만
차이
점도 존재했다. 포획한 곤충을 소화하기 위해 미생물을 사용하는 다른 식충식물과 달리 트리안타 오시덴탈리스는 직접 탈인산효소를 분비해 인이 포함된 영양소를 분해했다. 또 일반적으로는 수분에 도움을 ... ...
위성이 날아오는 순간 천체 관측 카메라는 눈을 감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3
반사판을 설치한 스타링크 위성을 동시에 관측해서 비교해 보면 세 종류의 위성 밝기
차이
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최근 한화시스템의 투자로 관심을 모았던 우주 인터넷 기업 원웹도 스페이스X에 이어 현재까지 288기의 위성을 지구저궤도에 띄우면서 위성인터넷용 ... ...
알츠하이머병 일으키는 '불량 단백질', 왜 생기는지 알아냈다
연합뉴스
l
2021.09.02
모델로 단백질 합성 속도를 관찰했다. 유전자 정보에 의존해 나타날 수 있는 속도
차이
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단백질은 거의 모든 생리 작용에 관여한다. 사진은 암세포에 발현하는 TRPM7 단백질. 이 단백질이 많이 나타나면(아래) 암세포의 혈관 진입이 억제된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 재판매 ... ...
MRI만으로 CT영상 생성하는 AI 개발…경두개 집속 초음파 시술까지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1.09.02
모델을 최적화한 뒤 MRI 영상을 기반으로 합성한 CT 영상은 실제 CT 영상과 통계적으로
차이
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합성 CT 영상을 이용해 모의 초음파 치료를 시행해 MRI 영상만으로 경두개 집속 초음파 치료 시스템을 시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김형민 KIST 책임연구원은 “환자들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튀어나와 비행할 수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진공관 속 음극과 양극 사이의 전압
차이
때문이다. 전압이란 달리 말해 단위 전하량에 대한 전기적인 퍼텐셜에너지이다. 따라서 이 퍼텐셜에너지가 음극선 입자의 운동에너지로 전환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상황은 높은 곳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5) 우주발사체 전자장비 이어주는 신경망을 책임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2
크게 바뀌는 건 없다”며 “우주 분야는 해 본 것과 해보지 않는 것 사이가 기술력의
차이
라고 볼 수 있어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10월로 예정된 누리호 발사에 대해 성공을 낙관하면서도 파생사업이 보이지 않는 것은 걱정거리라고 했다. 오 부장은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하면 ... ...
열을 전기로 바꾸는, 손톱보다 작은 발전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1mm 이하 두께로 작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열전소재는 소재 양쪽의 온도
차이
를 전기로 바꾸는 소재다. 열전 발전에 쓰이는 모듈은 평평한 필름 형태보다는 폭은 좁고 길이가 긴 가닥 형태가 좋다. 모듈 내부 온도차가 클수록 발전기의 출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3D 구조인 가닥 ... ...
같은 mRNA 백신인데…"모더나 백신이 화이자보다 항체 2배 더 많이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같은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방식의 기술이 사용된 두 백신이 생성하는 항체수에
차이
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향후 백신 구매와 선택에서 참고할 부분이 있는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벨기에 림뷔르흐동부병원 연구팀이 1647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감염 여부와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