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진단"(으)로 총 1,8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매·정신질환 완치의 길 여는 '100번째 뇌'동아사이언스 l2019.05.22
- 인체뇌자원 기증자 1800증례를 확보하는 한편 한국인의 생애전주기에 걸친 뇌질환 조기진단과 치료법 연구를 위해 연구자 맞춤형 지원서비스를 구축, 운영할 계획이다. 김종재 한국뇌은행장은 “전통적인 유교문화로 사후 뇌기증이 쉽지 않았던 국내에서 이번 100증례 확보는 매우 고무적인 ... ...
- '진단의학 전문의보다 더 정확하네~'동아사이언스 l2019.05.22
- 망막증을 건강에 따라 5개 등급으로 나눠 환자의 실명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과 유방암 진단 기술, 흡연 습관과 혈압을 분석해 심혈관질환 가능성을 예측하는 기술 등을 공개하기도 했다 ...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2019.05.21
- 측정 방법도 없다 보니 제대로 된 뇌질환 연구는 아직 시작되지 못했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7~8년 전부터 유럽과 미국에서 신경세포의 연결 상태 지도인 ‘뇌지도’크게 유행하고 한국도 지난해에 연구에 뛰어들 계획을 밝혔지만, 이 교수는 뇌 회로는 뇌지도와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 교수는 “지금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⑤ 게임 통해 기억력 높이는 로봇 보미동아사이언스 l2019.05.09
- 2종이 장착돼 있다. 김 센터장은 “최근 한 환자가 정년 퇴임 후 치매고위험군을 진단받아 매우 우울한 상태였다”며 “보미와 인지훈련을 하면서 기억력이 향상된 것은 물론 우울감도 극복했다”고 말했다. 인지기능뿐 아니라, 고령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도 예방할 수 있는 친근한 로봇의 활약이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④ 암세포 정확히 찾아 찌르는 의료로봇계 로빈후드동아사이언스 l2019.05.07
- 마치고 내년 초 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지금까지 폐암 진단과 간암 치료에서 로빈S를 활용할 수 있음을 임상시험으로 확인했다. 로빈S의 수준 역시 경험이 많은 의사와 비슷했으며, 환자에게 방사선을 노출하는 양은 경험이 많은 의사가 할 때와 비슷하거나 약간 감소하는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0) 기계에게 판단하는 법 가르치기2019.05.07
- 분석이 필요한 분야는 이미 인공지능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암진단 등 의료 영역에서의 활용도 가능성의 차원을 넘어가고 있다. 긴 시간 교육받은 의사의 직관까지도 위협받는 상황이란 얘기다. 이렇듯 인공지능은 날로 진화하고 있는데, 인공지능의 핵심에는 컴퓨터가 가진 ... ...
- 어린시절 무심코 먹은 항생제가 거식증·폭식증 유발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6
- 겪을 확률이 약 23%, 폭식증을 겪을 확률이 약 6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으로 진단할 수준은 아니지만 거식과 폭식을 자주하는 경우도 45%에 이르렀다. 연구를 이끈 로렌 브라이토프 조지메이슨대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항생제가 병원균뿐 아니라 유익한 균까지 죽이면서 장내미생물 ... ...
- 발달장애인과의 상생, 기업들도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5
- 한해 동안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 가운데 장애인 등록을 위해 진단서를 받아간 비율은 8분의 1(12.6%)에 그친다. 등록된 수보다 8배는 더 많은 발달장애인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상당수가 사회적 시선을 의식해 등록을 하지 않은 것으로 짐작된다. 실제로 ... ...
- '동네를 놀이터로'…아이는 놀아야 자란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9.05.04
- 힘든 곳에 있어 거의 사용하지 않는 놀이터도 많다”며 “새로운 놀이터를 만들 때는 이 진단도구로 현황을 파악하고 좋은 입지를 찾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 “이것도 저것도 할 수 있어야 좋은 놀이 공간” 지정우, 서민우 EUS+건축사무소 공동소장 'EUS+건축사무소'는 '좋은(EU)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② 안구운동 보고 사시 검사하는 안과로봇동아사이언스 l2019.05.02
- 것이 아니라 다각형 그래프로 나타나진 않았지만, 좌우 방향에서 잰 각도가 임 교수가 진단했던 것과 비슷했다. 임 교수는 현재 임상에서 로봇을 활용해 환자의 눈 운동과 사시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한편, 데이터를 쌓고 있다. 로봇이 AI로 결과를 내는 만큼 데이터가 많이 쌓이면 쌓일수록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