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경
황태
말린 명태
명태
동태
북어
노가리
d라이브러리
"
생태
"(으)로 총 1,7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깨끗하고 가장 깊으며, 가장 큰 담수호 동 시베리아의바이칼 호
과학동아
l
198811
숫자가 상당히 늘어났다. 담비가 많아지자 다람쥐의 희생이 커져 문제가 되고 있다 한다.
생태
계연구 미진바이칼호에 대한 연구 조사는 아직도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호수의 규모나 깊이 조차 조사팀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난다.(물론 시기에 따라 호수자체의 변동이 생길 수 있다)호수에 대한 조사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11
그 기록의 내용은 실제로 보지 않고는 쓸수 없는 각 종류의 상세한 것이며 해부도와
생태
도도 세밀하여 우수한 학자의 연구보고서로 설득력이 있다.네시의 애매한 사진이나 설인의 발자국과 같은 자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구체적이고 세세한 부분까지 설명이 되어 있다.만약 실제의 것이 ... ...
멕시코에서 막대한 피해주고 북상중
과학동아
l
198810
지장을 주고 있다는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 그런데 지난 1956년 이 아프리카산 살인벌의
생태
를 연구하던 브라질의 한 실험실에서 부주의로 한마리가 도망쳤는데 이것이 토착종과 교미, 살인벌화(化)한 후손이 번창하기 시작해 현재 중남미지역까지 진출해 맹위를 떨치고 있다. 북상중인 이 벌떼는 199 ... ...
은연어의 양식, 내년부터 일반에 보급
과학동아
l
198810
활용하는 이점도 있다. 바다목장의 2모작이 가능한 셈이다.은연어의 양식은
생태
특성을 고려해 담수(淡水)와 바다에서 교대로 이루어진다. 즉, 은연어는 처음 알에서 깨어나 성장했던 모천으로 회귀, 담수에서 알을 낳게 된다. 이곳에서 부화된 새끼 은연어는 약 1년간을 살다가 바다로 내려간다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10
한편 그라쳬프는 바이칼호의 종(種)의 진화역사에 기술을 적용시키는 데 열성적인 분자
생태
학자를 찾고 있다. 그라쳬프는 바이칼호가 소비에트 영역으로 국한되기에는 너무나 흥미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바이칼호에 대해 국제적인 관심이 모아지기를 원하는 것이다. 우선 서구 생물학자들이 ... ...
태평양 해저에서 이상한 빛을 발견
과학동아
l
198809
사는 눈없는 새우 등 심해 생물의
생태
를 조사하던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의 앨빈호(타이타닉 잔해를 발견한 잠수정)가 지난 6월26일 태평양 해저에서 이상한 빛을 발견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이 불꽃같이 보인 빛(사진 참조)은 캐나다의 뱅쿠버서쪽 1백80마일지점 해저 7천2백피트의 ... ...
곤충을 먹이로 하는 식충식물의 세계
과학동아
l
198809
있는 대부분의 식물들은 태양광선을 이용한 광합성작용으로 양분을 합성하여 살아간다.
생태
계에서 단순한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광합성작용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영양분을 섭취하는 식물도 있다. 이를테면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있는데 그 중 ... ...
울릉도의 식물
생태
계
과학동아
l
198809
후원한 이번 행사는 문교부에서 추천한 전국 과학교사 9명 등 13명이 참가, 식물
생태
계를 중심으로 울릉도지역을 탐사했다.이 탐사는 본격적인 학술조사라기 보다는 교사들의 현장실습에 중점을 둔 행사이기때문에 지금까지 밝혀진 울릉도 특산식물을 확인하고 간단한 채집을 하는데 중점을 두어 ... ...
가르치는 사람, 현장 경험 많아야
과학동아
l
198809
김동 울릉도
생태
계탐사가 이제 끝났읍니다. 기상관계로 계획이 흐트러지고 지도교수가 합류하지 못해 처음 계획했던 것하고는 많은 차이가 났읍니다만 여러 선생님들의 협조 하에 무사히 일정을 마쳤읍니다. 5박6일 동안 직접 보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기탄없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이 ... ...
클론동물-똑같은 존재의 대량생산
과학동아
l
198809
말한다. '가든'박사가 만든 클론개구리도 이러한 방법으로 탄생했다. 이러한 예를 자연
생태
계에서 찾는다면, 박테리아의 경우 분열로 증식되는 완전한 무성생식이며 그 자손은 모두 똑같은 유전정보를 갖는다. 이렇게 유전정보가 똑같은 개체군을 클론이라고 한다.왜 클론동물을 만드는 것일까?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