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 자리에서 ‘국제동물농부협회’를 창립해 각자 오랜 세월 축적해 온 농사의 노하우를
공개
하고 교류하고자 합니다.솔직히 저는 개미 말고 어떤 동물이 농사를 짓는지 잘 모릅니다. 그래도 생물학자라는 몇몇 부지런한 사람들이 지구촌 구석구석에서 많은 분들을 ‘발견’했군요. 그럼 어떤 ... ...
Part 2. 5년간 성장한 왓슨 vs 제퍼디 퀴즈 영웅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벌이며 제퍼디에 출전하기 위한 시험을 치렀다. IBM 내 비밀유지 때문에 경기결과는
공개
되지 않았다. 단지 경기를 진행할수록 승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만 알려졌다. 연습경기의 성과 덕분이었을까. 왓슨은 다른 참가자와 같은 시험을 거쳐 제퍼디 출연을 확정지었다.임해창 고려대 뇌공학과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검색어로 언제 어느 지역에 인플루엔자가 발생할지를 예측한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공개
했다. 사람들은 인플루엔자 같은 감기 증세가 나타나면 먼저 인터넷을 통해 관련 정보를 찾는 습관이 있다. 감기가 걸릴 것 같아서 목이 간질간질했던 기억을 되살려 보자. 주변에 물을 사람이 없었다면 ... ...
통합과학 논술 - 수분 포텐셜이 일어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부족할 경우 앱시스산이라는 호르몬에 의해 기공은 신속히 닫힌다. 그림(a)와 (b)는 기
공개
폐시 공변세포의 변화와 K+의 역할을 나타낸 것이다. 1) [난이도 중] 제시문 (가)는 신장의 구조와 노폐물 처리과정을 설명한 글이다. 제시문 (가)를 읽고, 신장을 통한 수분의 재흡수 기작을 제시문 (나)의 수분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알아본 것이다. 왕오천축국전은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돼
공개
되지 않다가 마침내 한국에 왔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실크로드와 둔황’ 특별전에 전시돼 있다. 앞뒤가 잘려 일부만이 남아 있지만 글을 읽을 수 있을 만큼 잘 보존돼 있다. 혜초의 육신은 타향에 ... ...
수학 성취도, 수도권 저조하고 충청권 약진한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010년 11월 30일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는 학교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공개
하면서 ‘기초학력 미달자’가 줄었다고 발표했다. 실제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의 경우 초등학생은 2008년 2.3%에서 2010년 1.5%로, 중학생은 10.2%에서 5.6%로, 고등학생은 8.9%에서 4%로 줄었다. 수학 ... ...
100m를 단번에 오르는 에스컬레이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이어진다. 따라서 구성이 복잡하고 무거운 구조물을 지지해야 한다. 그런데 이번에
공개
된 에스컬레이터는 100m 높이까지 하나로 연결돼 더 가볍다.실제로 이 에스컬레이터를 만들고 있는 독일의 ‘헬릭사터’ 사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와 나선의 지름을 최적화해서 사람들이 돌면서 올라가는 중에 ... ...
가장 자세한 달 지형 대
공개
!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나사는 최근, 지금까지 촬영한 사진 중 가장 자세한 3D 디지털 달 지형 사진을
공개
했어요. 지난해 쏘아올린 달정찰궤도 우주선(작은 동그라미)에 달린 레이저 고도계측기로 달 표면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했지요.레이저 고도계측기는 레이저를 쏘아 달 표면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측량하는 ... ...
말레이곰 꼬마, 집으로 돌아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었지요. 저는 건강에큰 이상이 없어서 잡힌 그 다음날인 16일 오후부터 관람객들에게
공개
됐어요. 탈출로 오히려 스타가 되어서 많은 사람들 절 보러 오고 있지요. 친구들도 무사히 집으로 돌아온 저를 보러 놀러 오세요~ ... ...
바스켓을 흔드는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과학’에서 신장이 180cm인 선수가 4.6m인 거리에서 슛을 한다고 가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공개
했다.선수가 초속 7.16m로 공을 던지면 최적의 각도는 49°다. 이보다 속도를 높여 초속 7.22m로 던지면 43°로 던져야 시원하게 공이 바스켓을 통과한다. 물론 1°에서 2° 정도 차이가 나도 슛은 성공할 수 있다.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