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d라이브러리
"
둘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뽀통령이래. 우리 때는 이런 거 없었는데.”“왜? 우리도
둘
리 있었잖아. 그리고 보니
둘
이 뭔가 비슷하다, 그치?”아기 같은 얼굴에 이등신 몸매. 기자가 중학교 시절 유행했던 캐릭터 ‘마시마로’도 마찬가지다.눈은 크게 코는 짧게…미키마우스의 진화비단 국내 캐릭터만은 아니다. 일본의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따라 타이어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타이어 무늬로 알아보는 타이어의 종류 ➊ 바퀴의
둘
레를 따라 바퀴의 진행방향으로 홈이 파져 있다. 이 타이어는 직진 주행에 유리하고 회전 저항이 큰 편이다. 또한 바닥과의 마찰 소음을 줄여 준다.➋ 바퀴의 진행방향에 직각(90˚)으로 홈이 파져 있다. 이 ... ...
[시사] 수학으로 드림하이~! 꽃미남밴드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학생 김지수의 목소리를 듣고 반해 버렸어. 그래서 함께 듀엣곡을 부르기로 했지. 우리
둘
의 노래가 아름다운 화음을 이루자 많은 친구들이 환호성을 질렀어. 아름다운 화음 속에도 수학 원리가 있을까? 1단계 아름다운 음의 비밀은 정수비!피아노 소리, 유리잔이 청아하게 울려 퍼지는 소리,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굉음이 울려 퍼졌다. 그러더니 폴과 폴리스가 서 있던 바닥이
둘
로 갈라지는 게 아닌가!
둘
은 그 끝이 보이질 않는 시커먼 바닥으로 떨어지기 시작했다.“으악~!”“또 보자고~! 킬킬킬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몫 하는 것 같아요. 주인님이 분홍색 좋아한다고 저도 매일 이 분홍색 옷만 입히잖아요.
둘
다 분홍색 티셔츠를 입고 있으니 더 닮아 보이는 수밖에요. 그런데 실은요, 저도 이 옷이 좋아요. 이 옷을 입으면 주인님이 좋아하니까요.주인님이 좋아하는지 어떻게 아냐고요? 같이 산 세월이 얼만데,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네이처’에는 이 현상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는 논문 두 편이 나란히 실렸는데
둘
의 입장차이가 너무 커서 어리둥절할 정도다. 스페인 안달루시아 천체물리학 연구소 크리스티나 퇴네 박사가 주축이 된 국제 공동연구팀(서울대 임명신 교수팀도 포함됨)은 덜 파격적인 해석을 내놓았다.즉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결과를 얻었다. 위치와 운동량의 불확정성의 곱을 줄였다는 뜻으로, 위치와 운동량을
둘
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국내에서는 “불확정성 원리에 결함 있다”는 뉘앙스의 보도가 나와 다소 성급하게 결론 지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재완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는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면역계는 암세포가 생기면 일단 백혈구와 NK(natural killer)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한다. 이
둘
은 인체에 이상한 세포가 들어오면 무조건 공격한다. 하지만 암세포는 영악하다. 빠른 속도로 세포를 늘리고 주변에 공격에 쉽게 당하지 않도록 장벽을 만든다.여기서 백신은 암에서만 나타나는 단백질(항원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따라 강아지에게 ‘앉아’를 가르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방 안에 개와 주인 이렇게
둘
이 앉아 마주보기만 하면 일단 준비가 끝난다. 개를 가만히 보고 있다가 개가 앉는 순간 ‘클리커’의 버튼을 눌러 ‘딸깍(클릭)’ 소리를 낸다. 개에게 ‘그래, 내가 원하는 것이 바로 그거야!’라고 칭찬하는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게 유력한 설명이다. 보통 신경세포 사이의 시냅스는 우리가 어떤 경험을 쌓을 때 하나
둘
만들어지면서 늘어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신경세포가 생길 때부터 이미 수많은 시냅스가 무작위로 연결돼 있다.따라서 뇌의 회로가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냅스를 형성하는 것도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