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d라이브러리
"
변화
"(으)로 총 7,906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본다는 것은 최소한 빛이 대상을 때려야 하는데, 전자는 빛과의 충돌에서조차 운동량에
변화
가 일어나기 때문이다.전자의 위치나 운동량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확률을 계산하는 것뿐이다. 이렇게 양자역학은 확률을 기술하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빌자면 ‘주사위를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교사가 기록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렇지만 봉사활동 과정에서 느낀 점과 생각의
변화
는 추후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할 때 자기소개서에 충분히 풀어낼 수 있다. [표6]을 보면 봉사활동과 관련된 에피소드와 그 과정에서 배우고 느낀 점을 충분히 자기소개서에 풀어내는 과정에서 자신이 어떤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못했어요. 이런 별들은 행성이 가려도 크게 어두워지지 않아 케플러가 빛의 밝기
변화
를 알아채지 못했거든요. 앞으로 TESS는 케플러가 확인하지 못했던 중심별들을 집중적으로 관측할 계획이랍니다. TESS의 목표는 골디락스 존에 위치하며, 단단한 지각을 가진 외계행성을 최대한 많이 발견하는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이때 앞쪽별에 행성이 있으면 빛의 증가가 불규칙적으로 일어나요. 연구팀은 이
변화
를 분석해 외계행성의 존재를 알아낸답니다. KMTNet은 2015년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냈어요. 지난 4월에는 지구로부터 1만 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와 비슷한 질량의 외계행성을 발견하기도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돌연변이 같은 변수도 있어서 계산이 복잡하고 예측도 쉽지 않아요. 또 집단유전학은
변화
가 느리고 표본도 커서 더욱 정교한 통계 분석이 필요하죠. 생물학, 혹은 수학 지식 하나만으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요. 하지만 둘이 힘을 합치면 도통 풀리지 않던 문제도 풀 수 있어요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017.17.1.071 연구팀은 먼저 2001년부터 2014년까지 말리라아 환자가 발생한 평균 중심점의
변화
를 파악했다. 인접한 지역으로 전파가 이뤄지는 말라라아의 특성을 고려해 국지적인 군집, 또는 핫스팟을 찾아낸 것이다. 조사 결과 2001년 경기도 양주 부근에 있던 말라리아 평균 중심점은 남서쪽으로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분야는 기술이 상당히 빨리 발전하고 유저들이 좋아하는 게임 장르나 내용도 빠르게
변화
한다. 거의 1~2년 주기로 패턴이 달라지는 것 같다. 그래서 앞으로 5년 뒤 어떤 게임이 인기를 끌지 예상하기가 어렵다.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기술의 트렌드를 빨리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또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중 하나였다. 하지만 지금은 중국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지역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런
변화
를 이끈 건 서툰 당나귀의 뒷발질이 아닌 빅데이터다. 세계 최초 빅데이터 거래소 열어필자는 지난해 베이징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한 중국 연구자를 만났다. 명함에는 ‘글로벌 빅데이터 거래소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대멸종을 막을 수 있답니다. 생물다양성이 낮은 생태계생물종이 적은 생태계는 작은
변화
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만약 이 그림에서쥐가 사라진다면 뱀은 먹을 것이 없어 굶게 된다. 결국 뱀의 수도 크게 줄어들것이다. 반면에 애벌레는 자신을 먹던 쥐가 사라졌기 때문에 수가 크게늘어나고,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역할을 해요. 한편 행성 사냥꾼 프로젝트는 시민과학자들이 직접 중심별의 밝기
변화
를 감지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답니다.Q‘외계행성 탐험가’ 프로젝트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주세요.케플러 우주망원경이 보내온 데이터를 시민들과 함께 분석하는 프로젝트예요. 현재까지 94개의 외계행성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