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있었답니다. 이정원 팀장님은 “이 통제실에서 각 연구원은 원격으로 자신이 맡은 부분을 조종한다”며, “모든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모두가 제대로 조종해야 발사체 한 대를 우주로 쏘아 보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로켓 엔진이 타지 않는 이유는?나로우주센터는 발사장일 뿐만 아니라 ...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비결은 바로 물고기를 닮은 외모예요. 물고기는 앞부분부터 곡선을 그리다가 뒤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유선형’을 이루고 있어요.그 결과 앞으로 나아갈 때 부딪히는 물이 몸의 곡선을 따라 흘러가며 물고기가 받는 물의 저항이 줄어들지요. 그럼 물의 방해를 ... ...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우리는 모기가 무는 것을 느끼지 못한답니다.모기에게 물렸다는 사실을 알아차리는건 대부분 모기가 이미 날아가 버린 뒤예요. 우리 몸은 모기가 주입한 침을 외부에서 침입한 이물질로 여겨요. 그래서 몸에 들어온 이물질을 없애기 위해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요.바로 이 면역 반응 때문에 피부가 ...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작은 힘으로 눌러도 좁은 면적에 힘이 집중돼 큰 압력이 된답니다. 손가락이 종이에 닿는 부분이 지름 1cm의 원이라고 가정하면, 종이 모서리를 누르는 압력은 종이 전체를 눌렀을 때보다 약 80배나 커지지요.손가락으로 종이 모서리를 문지르는 행동도 종이에 손을 베는 원인 중 하나예요. 종이 ...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다. 명암의 변화가 클수록 숫자는 커진다. 윤 책임연구원은 “명암이 달라지는 부분을 모두 추출하면 눈꺼풀이나 입술선 등 윤곽선뿐만 아니라 점이나 주름 등 작은 형태도 찾아낼 수 있다”며 “지금까지 이런 원리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한 사람의 얼굴에서 추출할 수 ...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게 많은가 봐. 과학자들과 같이 지내보니까, 그래도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에 대해 많은 부분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더라고. 다만 전에는 예측밖에 할 수 없었던 우리의 생활을 카메라와 비디오 등으로 연구하면서 하나씩 밝혀가고 있는 중이래. 하지만 앞으로는 단순히 호기심을 해결하는 ...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되는 척으로 가늠해 봐야 한다. 발견된 부재가 척에 맞지 않는다면, 없어지거나 교체된 부분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척은 정수인 경우가 많다. 1척, 2척, 5척, 10척, 50척 등과 같이 설계하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조사 결과, 미륵사지 석탑은 1척이 약 25cm인 ‘남조척’이 기준이었던 것으로 ...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정상상태 우주론자들이 주장하는 빅뱅 우주론의 약점을 멋지게 방어한 마지막 부분이다. 이런 걸 두고 ‘대미를 장식한다’는 표현을 쓰나보다. 호일을 비롯한 정상상태 우주론파 학자들은 특이점으로부터 우주가 시작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주장이라고 공격해 왔는데, 호킹은 특이점이 생기는 ...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빅데이터와 사물 인터넷,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이 우리 생활에서 점차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기술 간의 융합과 창의적인 발상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대다. 예를 들면 필자가 연구하는 드론은 전자공학과 항공공학 간의 이해와 융합이 필요하고, 다른 분야 ...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빼 임계상태를 유지한다. 이런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원자로의 모든 부분에서 k값을 알아야한다. 1872년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루트비히 볼츠만은 위상 공간에서 시간에 따른 입자수의 분포를 예측하는 ‘볼츠만 방정식’을 발표했다. 이 식을 이용하면 k를 계산할 수 있다.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