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체
몸
체격
육신
체구
골격
인체
d라이브러리
"
신체
"(으)로 총 2,0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세포 내에 p53 돌연변이물질이 많으면 악성암일 소지가 크며,
신체
다른 부위로의 전이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반대로 돌연변이된 p53의 수가 적으면 희망적인 상태라고 볼 수 있다."그러나 아직까지 p53을 암의 조기 진단용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요. 이미 암조직을 몸에 ... ...
곤충들의 짝짓기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이 점은 우리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와 비슷하다.곤충에서 짝짓기와 수정의 패턴은 각자
신체
구조상 가장 적합한 형태로 발전돼 왔다. 생식이 끝나면 생명도 끝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점은 우리 포유류와 다른 점이기도 하다.메뚜기과의 일부 종과 딱정벌레목 대부분 종의 짝짓기는 약간의 ... ...
PART4 제4의 치료법 암백신 실용화 임박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부담을 안고 있다. 즉 수술을 통해 암세포 조직을 제거한다 하더라도 이미 암세포가
신체
의 다른 부위로 퍼진 경우에는 수술 후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화학요법(항암제 투여)은 비교적 광범위한 암에 대해 사용할 수 있으나, 고형암(solid tumor)을 치료하는데는 부적합하고 또 항암제의 ... ...
사람은 왜 죽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소멸돼 짧아진다. 우리가 태어날 때 말단소립은 6천-1만개의 염기쌍을 갖고 있다. 따라서
신체
각 부위의 말단소립 소멸 속도를 감안해 보면, 대략의 최대 수명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이제 막 생체시계가 움직이기 시작한 사람의 정자세포(human sperm cell)는 어느 일반 조직세포나 체(體) 세포들보다 ... ...
홈 메디컬 어드바이서 프로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등 여러 질병들을 관련 자료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충실도를 높였다.특히 남성과 여성의
신체
에 따라 부위에 마크되는 커서로 빠른 검색 기능을 가진다. 전문적인 의학용어도 쉽게 설명해놓고 있어 어지간한 영어실력이면 영어사전만 갖추고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이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라고 규정했다.HIV 바이러스를 몸에 지니고도 장기간 건강하게 지내는 사람들은 어떤
신체
적 특성을 갖고 있을까.첫번째로 거론되는 것은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한 면역 능력이다. 즉 선천적으로 병약한 (면역성이 낮은) 사람보다 좀처럼 병에 걸리지 않는 (면역성이 높은) 사람의 장기생존 가능성이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몇몇 학자들은 그러나 과학이 최소한 남자와 여자의 지각적 세계에 대한 오래된 정신-
신체
문제의 해결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고 말한다.미국 국립 아동보건 및 인간발달협회의 인간학습 및 행동분과 책임자인 노만 크라스네거(Krasnegor)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과거 철학자들이 정신에 대해 ... ...
알레르기, 현대인의 불치병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외부의 물질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는 능력을 타고 났다. 이를 면역이라 한다. 우리
신체
는 면역 덕분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수많은 외부환경(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킬 수 있다.그러나 때때로 잘못된 면역반응의 한 형태인 과민반응으로 우리 몸에 해를 주는 현상이 생길 수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연결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손은 정신의
신체
화이고, 정신은 손의 정신화다. 정신과
신체
는 서로 맞물려 있으며 서로가 서로를 자신의 양식으로 반영한다.이것이 타당하다면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의 진화를 눈에 보이는 손의 진화를 통해서 추적해 볼 수 있다. 진정한 인간의 손은 언제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알부민을 비롯한 기타 정력증강제나 화장품의 제조원료로 활용되고 있다.그러나
신체
재활용은 의료윤리적 측면뿐 아니라 안전성을 둘러싼 의학적 차원에서도 쟁점이 되고 있다. 적혈구 혈소판 장기 각막 등 인체 부산물은 살아 있는 생물(단백질)이므로 완전멸균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